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경제
기자이미지 노경진 기자

[뉴스인사이트] 금리역전과 가계부채 억제책의 만남은 새로운 양극화?

[뉴스인사이트] 금리역전과 가계부채 억제책의 만남은 새로운 양극화?
입력 2018-03-25 09:12 | 수정 2020-01-03 09:59
재생목록
    [뉴스인사이트] 금리역전과 가계부채 억제책의 만남은 새로운 양극화?
    빚은 없는 게 가장 홀가분한 상태이겠지만, 시장자본주의 경제체제에 속해있는 이상 신용을 기반으로 한 레버리지 효과에 전혀 기대지 않고 살아가긴 힘듭니다. 생활비 때문이든, 내 집 마련 때문이든, 자산 증대 목적이든, 스마트폰 다음으로 우리 손이 자주 찾게 되는 신용카드부터, 소중한 생활비의 원천, '마통'(마이너스 통장)에, 내 집에 발 뻗고 자다가도 매달 원리금 상환일이 돌아올 때마다 마음이 쪼그라드는 주택담보대출까지, 빚은 우리 삶에 다양한 형태로 몸속 장기처럼 필수적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의 관심사, "그래서 이자는 얼마래?"란 공통의 질문을 낳게 되죠.
    [뉴스인사이트] 금리역전과 가계부채 억제책의 만남은 새로운 양극화?

    제롬 파월 미국 Fed 의장

    "그래서 이자는 얼마래?"

    미국이 기준금리를 석 달 만에 또 인상했습니다. 이번 금리인상이 특히 관심을 끈 건 드디어 우리나라와 금리역전 상태가 됐기 때문이죠. 미 금리가 1.5%에서 1.75%로, 우리나라 금리 1.5%와 비교하면 0.25%p까지 더 높아지게 된 겁니다. 당장 우리나라의 외국인 자금이 더 높은 이자를 찾아 미국으로 빠져나갈 수 있겠죠. 그 수준이 크고 급격하면 우리 금융시장이 크게 휘청거릴 겁니다. 하지만 적어도 금리역전 당일 (22일)엔 별 영향은 없었습니다. 이미 시장이 예상하고 있었고, 외국인 자본이 사들인 채권 상당수가 중장기채였던 데다, 우리 경제 체질이 그 정도 충격은 충분히 버틸 만하다고 판단한 결과입니다. (물론 불과 하루 뒤인 23일,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증시 폭락장이 펼쳐지긴 했습니다.)

    ▶ 관련 뉴스 보기 [10년 만의 韓美 금리역전…대출 금리 오르나]

    [뉴스인사이트] 금리역전과 가계부채 억제책의 만남은 새로운 양극화?
    하지만 과제는 지금부터입니다. 우리 금리는 그럼 과연 언제, 얼마큼 올려야 하느냐는 거죠. 모두의 관심사 "그래서 이자는 얼마래?"란 질문이 전방위적으로 통화당국을 조여오고 있습니다. 미국이 올해 세 차례 (네 차례 가능성도 상존) 금리인상을 예고하면서 우리와의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우리도 함께 올릴 수밖에 없습니다. 하반기에만 한 차례 또는 5월에 한 번, 하반기에 또 한 번 총 두 차례 등 예측이 엇갈리고 있지만 금리인상은 기정사실입니다. 올해 안에 우리 기준금리가 2%에 도달할 가능성이 꽤 있는 겁니다. 금융권에선 그렇다면 현재 최고 연 4%대 후반인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연말엔 5%대 후반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뉴스인사이트] 금리역전과 가계부채 억제책의 만남은 새로운 양극화?
    또 다른 과제 '가계부채'

    금융당국은 금융당국대로 딜레마에 빠져있습니다. 1,450조를 넘어선 가계부채는 늘 한 쌍처럼 '폭탄'이란 말을 달고 다니고 있습니다. 기존 규모까진 줄이지 못해도 신규 대출을 더 늘리지 말아야 하는 게 이번 정부가 당면한 정책과제입니다. 부동산 이상열기를 꺼뜨리고 가계부채 폭탄이 점화되기 전에 관리 가능한 온도로 누그러뜨리자는 겁니다. 지난 1월 말부터 시행되고 있는 신 DTI(총부채상환비율)부터, 내일(26일)부터 실시되는 DSR(총체적상환능력비율)과 RTI(임대업이자상환비율), LTI(소득대비대출) 등 신 3종 가계대출기준이 바로 그겁니다. 하나하나 용어도 어렵고 내용도 복잡하지만, 결국은 예전보다 돈 빌리기가 더 어려워지고 대출한도도 대폭 줄어든다는 겁니다.

    은행의 입장에선 영업환경이 매우 나빠진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가계부채 증가세를 제한하니 예전보다 더 적은 사람에게 더 적은 액수만 빌려줘야 합니다. 그렇다면, 은행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요? 팔 수 있는 고객군이 적어지다 보면 상품 가격을 올려서 수익을 맞추려는 전략을 취하기 쉽습니다. 은행 수익은 알다시피 대부분 이자마진입니다. 은행이 대출금리, 정확히 짚자면 가산금리를 높여서 수익성을 맞추려 할 수 있다는 게 금융당국과 전문가들의 우려입니다. 금융당국이 종종 은행권에 가산금리 산정이 합리적인지 들여다본다는 게 그 말입니다. 그런데 앞선 내용으로 돌아가 보면 글로벌 경기추세가 본격적인 금리인상기에 접어들었다는 것. 은행으로선 대출 금리를 인상할 요인이 두 가지가 겹친 셈입니다.
    [뉴스인사이트] 금리역전과 가계부채 억제책의 만남은 새로운 양극화?
    원치않은 만남의 결과는 새로운 양극화?

    빌리기도 어렵고 빌려주는 돈도 적은데 이자는 높아집니다. 은행 문턱을 넘을 수 있는 고객군은 이른바 우량고객으로 한정되며 규모도 갈수록 축소될 가능성이 큽니다. 은행 심사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일명 비우량고객들은 어디로 가게 될까요? 결국, 제2금융권을 찾을 수밖에 없습니다. 제2금융권은 문턱은 좀 낮을지 몰라도 이자는 결코 낮지 않습니다. 금융당국이 인하했다 하더라도 최고금리가 연 24%에 달합니다. 지난해 저축은행 순이익은 사상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를 대출억제책의 풍선효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올해엔 금융당국 정책에 따라 저축은행도 건전성 확보를 위해 심사기준을 보다 강화할 전망입니다. 집값의 60% 이상 대출해주는 걸 위험자산으로 분류해 건전성 점수를 나쁘게 준다는 내용 등입니다. 그렇다면 또 서민들은 어디로 가야 할까요? 풍선은 또 어디에서 부풀어 오를까요? 가계부채를 둘러싼 금융환경이 또 다른 양극화를 불러오는 건 아닌지 하는 우려가 조심스레 나오고 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