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사회
기자이미지 홍석준 기자

[뉴스인사이트] '진퇴양난' 영주댐 어찌 하오리까

[뉴스인사이트] '진퇴양난' 영주댐 어찌 하오리까
입력 2018-04-01 07:15 | 수정 2020-01-02 16:00
재생목록
    [뉴스인사이트] '진퇴양난' 영주댐 어찌 하오리까
    영주댐을 3년째 찾아오는 불청객, 녹조

    유난히 길었던 겨울이 물러가고 반가운 봄기운이 수줍게 얼굴을 내밀던 3월 중순, 모두가 상춘에 대한 기대로 들뜬 그 때 영주댐에는 낯익은 불청객이 찾아왔다. 지난해 여름 악취를 내뿜으며 영주댐과 내성천을 뒤덮었던 바로 그 녹조였다. 2016년 준공 이후 3년째 빠지지 않고 발생하는 녹조.

    그러나 영주댐이 들어선 낙동강 상류의 내성천은 댐이 건설되기 전까지 1급수를 자랑하는 청정하천이었다. 영주댐은 이 내성천의 깨끗한 물을 댐에 가두어 뒀다가 낙동강 수질이 나빠지면 물을 하류로 흘려보내 강의 수질을 개선시키는 게 목적이었다. 홍수예방이나 각종 용수확보를 목적으로 건설되는 여타의 댐과는 구별되는, 영주댐만의 독특한 건설 목표였던 셈. 그런데 그 '수질개선'용 댐이 내성천 '수질악화'의 주범으로 전락한 것이다.
    [뉴스인사이트] '진퇴양난' 영주댐 어찌 하오리까
    “녹조 원인이 축사”, 수자원공사의 하소연

    3년 연속 녹조 소식에 김은경 환경부 장관이 영주댐을 찾았다. 댐 수질개선 계획을 설명하는 수자원공사 관계자에게 김 장관의 질책 섞인 질문이 날아들었다.

    "영주댐의 깨끗한 물을 내려보내서 낙동강의 오염된 물을 희석시키고자 한 것이 영주댐의 목적이라면, 이론적으로 영주댐은 굉장히 맑아야 되는데 왜 수질개선 장치를 달아야 될 정도가 된거죠?"

    환경부로 물관리가 일원화될 경우 주무부처가 될 장관의 일갈에, 수자원공사 관계자들의 얼굴은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영주댐 녹조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모아진다. 댐 안쪽 수몰된 논밭에서 각종 잔류 유기물질이 물 속으로 용출되는 것, 또 하나는 댐 상류 내성천 유역의 축사들이다. 수자원공사는 댐 건설 전보다 축사가 30%나 늘었다고 하소연 한다. 불가항력인 점을 알아달라는 것. ▶ 관련 뉴스 보기 ["3년째 녹조"…영주댐, 1조 원 투입했는데 애물단지]



    환경단체의 반발, “지어서는 안 되는 곳에 지어진 영주댐”

    그러나 환경단체는 발끈한다. 내성천보존회의 황선종 국장은 "영주댐이 있는 위치 자체가 댐을 지어서는 안되는 곳이었다"고 지적한다. 수몰된 농경지도 많지만, 댐 유역에 농경지가 넓게 분포된 지역 특성상 비가 오면 댐 안으로 흘러드는 유기물질 유입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없다는 것.

    지난해 녹조 파동 이후 만들어진 영주댐 민관협의체에서 위원장을 맡고 있는 안동대 환경공학과 김영훈 교수도 "댐 유역의 오염부하량을 꼼꼼히 체크했으면 예상할 수 있었던 것을,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제대로 짚어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영주댐 공사의 환경영향평가가 졸속으로 이뤄졌을 가능성을 의심한 것.
    [뉴스인사이트] '진퇴양난' 영주댐 어찌 하오리까
    기약이 없는 녹조 제거, 댐 철거만이 해결책?

    문제는 만성화되고 있는 영주댐의 녹조현상이 언제쯤 사라질지 아무도 장담하지 못한다는 것. 저수용량 1억 8천만톤의 영주댐은 준공 3년이 다 되가도록 수문을 열어두고 있다. 녹조가 또 번성할 것을 우려해 언제부터 물을 가둘지 조차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공사비 1조원이 들어간 댐이 댐 운영의 첫 단계인 담수조차 못한채 놀고 있는 것.

    수자원공사는 최근 물순환 장치 29기를 추가 설치하고, 천연 조류제거물질과 녹조제거선 투입, 수면포기기 운영 등 국내에 알려진 녹조저감 방법을 모두 찾아내 총동원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확히 언제 담수를 시작할지는, 수질모델과 댐운영 시나리오가 나오는 5월쯤 다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장관의 현장 방문에 대구지방환경청장도 동석했다. 댐 상류 수질은 수자원공사 관할이고, 오염된 방류수가 내려간 댐 하류는 지방자치단체 소관이라며, 지난 여름 영주댐 방류수의 정확한 수질조차 파악하지 못하던 대구환경청.

    환경영향평가 과정의 부실, 방류수 수질관리에 대한 관리 부재, 댐 유역 오염원에 대한 분석 소홀 등 영주댐 녹조사태의 원인을 제공했다고 지목된 사안들 대부분이, 기존의 환경부 업무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뉴스인사이트] '진퇴양난' 영주댐 어찌 하오리까
    이 영주댐, 어찌하오리까..

    김은경 장관은 댐 주변 주민들을 만난 자리에서 영주댐 녹조사태에 대한 정부 대응이 이원화돼 있어 미흡한 점이 있었다고 말했다. 수자원공사 소속을 국토부에서 환경부로 바꾸는 물관리 일원화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읽힌다. 그런데 수자원공사가 환경부 소속이 되면 영주댐 수질문제가 속시원히 해결될까?

    환경단체들은 영주댐의 녹조가 만성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댐 해체까지 주장한다. 이미 1조원넘게 들어간 댐을 섣불리 해체하는게 맞는지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정말 이번 여름에도, 또 내년 여름에도 작년과 같은 끔찍한 녹조 악취가 영주댐과 내성천을 뒤덮게 된다면 그 땐 정말 이 영주댐, 어찌하오리까…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