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내염성 새 볍씨 개발[정경수]

내염성 새 볍씨 개발[정경수]
입력 1987-02-27 | 수정 1987-02-27
재생목록
    [내염성 새 볍씨 개발]

    ● 앵커: 소금기가 많은 간척지에서 잘 자나는 볍씨가 곧 개발됩니다.
    그리고 가축에게 한번 놔주면 은 몇 가지 질병이 동시에 예방되는 백신이 개발됐습니다.

    두 기자가 계속해서 보도하겠습니다.

    ● 기자: 서울농대 채영암 교수팀은 일반볍씨의 유전성질을 변화 시켜서 염분성토양에서 거든히 생육할 수 있는 새로운 볍씨의 개발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채 교수팀은 일반 볍씨를 염분도 1.2%의 배즙 위에 올려놓고 한 달 후에 유전성질의 변이를 의미하는 세포독립 칼로스를 얻어냈습니다.

    이들 세포독립을 세분해 이 가운데 내염성세포만을 골라서 염분과 균이 없는 다른 시험관에 옮겨 심은 뒤 수경재배를 통해 길렀습니다.

    수경재배로 어느 정도 자라서 새 환경력에 적응력이 생긴 볍보기를 다시 화분에 이식해 현재 키가 60cm나 되는 성장한 벼를 얻는데 성공했습니다.

    ● 기자: 이것이 내염성 처리한곳에서 자란 볍씨의 벼입니다.

    개화는 언제쯤 됩니까?

    ● 채영암(서울대농학과 교수): 3월 중순경이면 될 거 같습니다.

    ● 기자: 종자수확은 언제쯤 가능합니까?

    ● 채영암(서울대농학과 교수): 종자는 아마 5월 초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기자: 채 교수팀은 이렇게 다 자란 벼에 내염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잎 조직을 떼 동료소검증법을 실시한 결과 유전성질의 변화가 발견 돼 1차적으로 성공적이라고 밝혔습니다.

    ● 채영암(서울대농학과 교수): 과연 유전적인 변화가 있었느냐?

    이와 같은 것을 이제 알기 위해서 도이효소의 하나인 페록시다아제를 분석을 해봤습니다.

    이 부분에서 이제 밴드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 3번하고 6번에서는 요인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1차적으로 확인을 할 수가 있었습니다.

    한편 내염성볍씨가 요구되는 염분성토양은 이미 개발된 간척지만 해도 현재 5만정도가 넘고 있으면 앞으로 전체 논 면적의 1/3에 해당하는 총 40만 정도를 개발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일반 볍씨는 염분성토양에서 잘 자라지 못하며 자라서 결실을 맺는다 해도 쭉정이수가 70%나 돼 알맹이 수확은 불과 30%선에 그치고 있습니다.

    채 교수는 오늘 6월쯤에 내염성 볍씨를 수확해 간척지에서의 시험재배를 거쳐서 내염성이 최종적으로 확인될 경우 내년 안으로 부분적이지만은 농가 보급을 시도할 작전이라고 덧붙였습니다.

    MBC뉴스 정경수입니다.

    (정경수 기자)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