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금기종 기자

입학사정관제, 관건은 '공정성'

입학사정관제, 관건은 '공정성'
입력 2009-03-13 22:32 | 수정 2009-03-13 22:53
재생목록
    ◀ANC▶

    최근 각 대학이 구미의 입학 제도를 본떠서 입학사정관 제도를 앞 다퉈 도입하고 있습니다.

    성패 여부가 당사자들이 승복할만한 공정성이 있느냐에 달려있습니다.

    금기종 기자입니다.

    ◀VCR▶

    성균관대 1학년인 신예은 학생은
    일반 고등학교 출신에
    내신 성적도 3등급이지만,
    올 초, 합격선이
    내신 1등급 수준인
    사회과학 계열에 합격했습니다.

    입학사정관이 신 양이 쓴 책에
    높은 점수를 줬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INT▶ 신예은/성균관대 1학년
    "저는 교환학생을 다녀온 경험이 있어요.
    교환 학생을 다녀와서
    교환 학생 체험기를 출판을 했고요."

    입학사정관은 교장 추천서 같은
    서류 심사와 면접으로
    잠재력 있는 학생을 발굴하는
    입시 전문가입니다.

    ◀INT▶ 홍승우/성균관대 입학사정관
    "열정적으로 헌신적으로 자기 주도적으로
    활동을 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가장 초점을 맞춰서 학생을 판단하고 있습니다."

    카이스트가 지난 주 정원 20%인 150명을
    입학사정관 제도로 뽑겠다고 발표한 뒤,
    연세대 고려대 등 40여 개 대학이
    앞 다퉈 선발 인원 등을 늘리는
    확대 방안을 내놓고 있습니다.

    올해 입학사정관제를 시행하는 대학에
    236억 원을 지원하겠다는 정부 발표가
    기폭제가 됐습니다.

    ◀INT▶ 박정일 교수/서울대 입학전형실장
    "잠재력이 있는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고,
    특히 입학사정관제는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를 하고 있다고 저희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입학사정관 제도가
    획일적인 대학입시를 바꿀 정도로 정착되려면
    한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바로 불합격한 학생과 학부모까지
    수긍할 수 있는 공정성 확보입니다.

    '입학사정관제'를 운영 중인 미국은
    70년에 걸쳐 제도를 정착시켰지만
    아직도 학생과 학부모가 소송을 제기하는
    공정성 시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작년 말 의뢰한 연구 조사에서도,
    전국 대학의 입시 담당자 64명 중 85%가
    제도의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88%가 공정성 시비를 우려했고,
    52%는 "부유층의 진학 기회를 확대할 우려"가
    있다고 응답하기도 했습니다.

    ◀INT▶ 조효완/서울 진학지도협의회장
    "고등학교 교사들도 면접관으로 참여해서
    함께 해 나간다고 하면, 공정성 시비는
    훨씬 줄어들 것으로 판단합니다."

    무엇보다 대학이 투명한 선발 기준을 정립하고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높이면서
    전형의 경험을 축적하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MBC 뉴스 금기종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