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앵커의 눈] 5060 장노년층 급증, 대선 변수 되나?

[앵커의 눈] 5060 장노년층 급증, 대선 변수 되나?
입력 2017-01-25 20:37 | 수정 2017-01-26 08:51
재생목록
    ◀ 앵커 ▶

    한국의 고령화 속도,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를 넘는 고령화 사회에서 14% 이상인 고령 사회로 넘어갈 때까지 프랑스는 115년, 영국은 47년, 일본은 24년이 걸렸는데요.

    우리는 불과 17년 만인 올해 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앵커 ▶

    노년층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는 만큼, 지원과 혜택도 다양해지고 있는데요.

    일본 도쿄의 노인 거리를 본떠 서울에는 어르신을 위한 거리까지 생겨났습니다.

    나세웅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벽장 가득한 LP판, 옛 교복을 입은 점원….

    듣고 싶은 음악은 DJ에게 신청합니다.

    [장민욱/DJ]
    "신청곡 주셨네요. 트리오 로스 판초스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3천 원짜리 추억의 철제도시락으로 한 끼를 해결하고 70, 80년대 향수는 덤으로 얻어 갑니다.

    [김구식/69세]
    "차를 한 잔 하면서 7080 추억의 노래를 듣고 싶어서 한 번씩 옵니다."

    서울 탑골공원 북문에서 낙원상가로 이어지는 100미터 구간 거리.

    천 원에 한 곡 뽑을 수 있는 노래방, 2천 원으로 속 뜨듯이 채울 수 있는 해장국집, 3천5백 원이면 깔끔하게 머리카락을 깎아주는 이발소도 있습니다.

    착한 가격이 이곳 매력의 전부는 아닙니다.

    간판 글자는 큼직큼직해 보기 쉽고, 노인이 편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과 편의시설이 가게와 거리 곳곳에 마련됐습니다.

    [장정인/83세]
    "(대부분) 젊은이들의 거리로 돼 있잖아요. 그러니까 노인들이 가면 도리어 폐스럽고 싫어하는 것 같고 그러니까 그쪽에는 잘 안 가죠."

    ◀ 앵커 ▶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5세 미만 인구를 처음으로 추월했습니다.

    연령대별 변화를 보면 2030 청년층과 5060 장노년층의 증감이 더욱 극명하게 엇갈리는데요.

    이런 인구의 변화가 올해 대선에 영향을 미칠까요?

    신정연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 리포트 ▶

    노무현 후보를 대통령으로 선택한 2002년.

    전체 유권자의 절반은 진보 성향이 강한 20대와 30대였고 보수 성향의 50세 이상은 30%가 안 됐습니다.

    박근혜 후보가 출마한 18대 대선, 이 비율은 역전됐습니다.

    수가 대폭 늘어난 50세 이상 유권자들의 전폭적 지지는 박 대통령 당선으로 이어졌습니다.

    [정한울/고려대 평화와민주연구소 연구교수]
    "5060세대, 특히 60대 이상 고령세대가 지금까지 강한 보수성을 보여줬기 때문에 고령세대의 증가는 선거지형을 상당히 보수한테 유리한…."

    올해 60세 이상 유권자는 지난 18대 대선 때보다 200만 명가량 늘어난 1,013만 명, 전체 선거인 4명 중 한 명꼴입니다.

    전례에 비춰보면 인구 구성비 면에선 보수에 유리합니다.

    하지만, 인구 변화와 함께 성향의 변화가 변수로 꼽힙니다.

    과거 좌우, 여야의 균형추 역할을 했던 40대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진보 성향을 보이고 있고, 보수 성향이었던 50대는 여야에 비슷한 지지를 보이며 이번 대선에서 '캐스팅 보터'로 떠올랐습니다.

    386으로 불렸던 민주화 세대가 50대가 된 데다, 탄핵 정국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결국, 보수·진보 성향 유권자의 결집 정도와 투표율이 관건이 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김형준/명지대 정치학과 교수]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는 어느 계층이 투표장으로 더 많이 나가느냐가 투표의 결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입니다."

    ◀ 앵커 ▶

    현재 우리나라에선 만 19세가 돼야 투표할 수 있죠.

    지난 대선에서 19세 투표율이 무려 74%로 20, 30대보다 높았습니다.

    이 선거연령을 만 18세로 낮추자, 아니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 공방이 거셉니다.

    아무래도 표 계산이 될 수밖에 없겠죠.

    박영회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선거권 보장을 요구하는 18살 청소년들, 거리에서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투표의 정당성을 주장합니다.

    [김시연/'18세 선거권 확대' 공동준비위원장]
    "결혼도 취업도 군대도 운전면허도 9급 공무원도 가능합니다. 그런데 투표는 왜 할 수 없습니까."

    OECD 국가 중 선거 연령이 만 19세인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합니다.

    미국과 일본 등은 만 18세, 오스트리아는 만 16세입니다.

    이 추세에 맞춰 중앙선거관리위원회도 지난해 선거 연령을 18세로 낮추자고 제안했습니다.

    선거 연령을 한 살 낮추면 60여만 명의 유권자가 새로 생겨납니다.

    하지만, 선거 연령을 만 18세로 하향 조정하는 선거법 개정안은 법안 소위를 통과한 뒤에도 여야 이견으로 해당 상임위에 상정조차 못 되고 있습니다.

    여권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투표권을 행사하는 게 맞다며, 선거 연령을 조정하려면 학제 개편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인명진/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3학년이 선거운동에 휘말리면 2학년, 1학년, 고등학교 전체가 선거에 휘말리게 (됩니다)."

    야권은 참정권 확대는 시대적 요구라며 2월 국회에서 통과시켜야 한다고 반박합니다.

    [노회찬/정의당 원내대표]
    "만 18세면 중앙선관위 직원도 될 수 있습니다. 중앙선관위가 주관하는 투표를 할 수 없다는 게 말이 됩니까?"

    ◀ 앵커 ▶

    단순히 세대별 인구 수 증감만으로 이번 선거 결과를 예측하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그만큼 변수가 많다는 얘기겠죠.

    설 연휴 앞두고 대선주자들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는데요.

    오랜만에 모인 가족, 지인들이 주고받는 설 민심, 중요하기 때문이겠죠.

    앵커의 눈이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