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장현주

"믿고 먹었는데.." '친환경 인증' 관리도 책임도 '부실'

"믿고 먹었는데.." '친환경 인증' 관리도 책임도 '부실'
입력 2017-08-18 20:03 | 수정 2017-08-18 20:38
재생목록
    ◀ 앵커 ▶

    친환경 인증을 받았다고 해서 믿고 먹었는데, 계속된 살충제 성분 검출에 소비자들의 신뢰는 바닥에 떨어졌습니다.

    친환경 인증제도 자체의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닌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장현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무항생제, 동물복지, 유기농까지, 달걀 겉포장 가득 각종 친환경 인증 마크가 표시돼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구체적으로 무슨 차이인지 이해하지 못한 채, 좋은 의미라고 생각하고 많이 표시된 걸 찾는 게 일반적입니다.

    [신혜진]
    "브랜드(제품)는 몇 번 더 거쳐서 검사하겠지 하는 생각으로 (고릅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이런 마크를 대하는 인식이 좀 바뀌었습니다.

    [최현옥]
    "예를 들어서 08어디 어디 어디 다 이렇게 나와 있잖아요. 보면요. 이거(난각코드)를 중점으로 해서 파악을 하는 거죠."

    친환경 인증마크들은 60여 개에 달하는 민간기관이 일정 수수료를 받고 발급해주고 있습니다.

    사실상 강제성이 부족한 민간 자율 관리인 셈입니다.

    또 각 인증마다 농식품부와 식약처, 농림축산검역본부 등 담당 부처도 제각각입니다.

    [인증업체 관계자]
    "소관부처가 다르기 때문에 심사 기준이 다 다르고 해서. 마크가 다르잖아요. 유기농이나 동물복지, 무항생제, 해썹. 평가 기준이 조금씩은 어느 쪽을 중점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를 거고"

    인증기관들의 책임론이 이는 가운데 인증기관들은 살충제 관리에 대한 기준도 없었다고 항변합니다.

    [인증업체 관계자]
    "유럽에서 (살충제 달걀) 사건이 터지니까 우리나라도 나온 거잖아요. 정부에서 살충제에 대해서 가이드 라인도 없었다고요. 사실은."

    소비자들의 기대와는 달리 체계적이지 못한 인증시스템.

    처벌도 솜방망이 수준으로 이번에 친환경인증 농장이 살충제를 쓰다 적발된 경우도 인증취소는 못 하고 시정명령이 전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BC뉴스 장현주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