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정동훈

공중화장실 휴지통 없애니 청소노동자 '진땀', 왜?

공중화장실 휴지통 없애니 청소노동자 '진땀', 왜?
입력 2018-03-03 20:25 | 수정 2018-03-03 20:29
재생목록
    ◀ 앵커 ▶

    공중화장실 휴지통에 쌓인 오물과 쓰레기가 위생상 좋지 않기 때문에, 깨끗한 화장실을 만들자는 취지로 정부가 올해부터 공공화장실의 휴지통을 없앴습니다.

    그런데 변기가 자주 막히는 바람에 청소노동자들은 더 난감해졌다고 합니다.

    정동훈 기자가 이유를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하루 30만 명이 오가는 서울역의 공중화장실.

    5명으로 100여 칸의 화장실을 청소하려면 하루종일 쉴 틈이 없습니다.

    "여기도 가고 저쪽도 가고 동서남북…"

    [청소노동자 A]
    "휴지통 있을 때는 거기다가 갖은 쓰레기 갖다 집어넣고… 말도 못했어요."

    하지만 휴지통이 사라지자 더 곤혹스러운 일들이 벌어졌습니다.

    변기가 막히는 겁니다.

    [청소노동자 B]
    "(변기물이) 넘쳐 버리면, 여기저기 다 흘러나와요. 이제 저걸로 뚫어야 돼요. 바닥은 닦아야죠."

    다른 역도 사정은 마찬가지.

    바쁠 때는 역무원들도 화장실 청소에 나서야 합니다.

    [역무원]
    "만날 '뚫어 뻥' 저도 뚫어야 돼요. ("대책은 없으세요?") 일일이 와서 관리하는 수밖에 없죠. 그때마다 '뚫어 뻥'하고…"

    서울지하철 1~4호선 화장실의 경우 지난해 8월부터 휴지통을 없애자, 변기 막힘 건수가 세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청소노동자 A]
    "집에서 가져온 물티슈를 많이 쓰세요. 물티슈는 전혀 안 녹거든요."

    물에 잘 안 녹는 휴지 때문이라는 건데, 실험을 해 봤더니 물속에서 두루마리 휴지는 28초가 지나서 완전히 풀렸고, 미용 휴지는 110초가 걸렸고, 물티슈는 3분이 넘어도 풀리지 않았습니다.

    [문병근/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연구원]
    "물 풀림성이 좋지 않은 미용티슈와 물티슈를 변기에 투입했을 경우, 변기 막힘을 유발할 수도 있겠습니다."

    쉽게 막히는 변기의 구조도 문제.

    [신원식/양변기 제조 업체]
    "완전히 꼬부라진 형태잖습니까. (내용물이) 여기 코너를 돌면서 막힐 수 있는 확률이 큽니다."

    변기 배관이 설치되는 건물 바닥이나 천장의 두께가 얇다는 것도 막힘의 원인입니다.

    [한무영/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배관의) 경사도도 완만하게 하다 보니까 지금과 같은 구조에서는 (변기가) 막힐 수밖에 없습니다."

    화장실에서 휴지통을 없애는 추세에서 달라진 화장실 문화에 적응할 때까진 이런 불편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정동훈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