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김주만

화해와 상생 움직임 "4.3 진실 밝혀야"

화해와 상생 움직임 "4.3 진실 밝혀야"
입력 2018-04-03 20:07 | 수정 2018-04-04 08:58
재생목록
    ◀ 앵커 ▶

    4·3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것 중 하나가 그 이름입니다.

    5·18 민주화운동이나 6·10 항쟁처럼 걸맞는 이름을 아직도 갖지 못한 채 숫자로 불리고 있죠.

    제 이름을 기다리는 4·3은 오늘날 한국 사회에 여러 과제도 함께 던지고 있습니다.

    김주만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리포트 ▶

    [故노무현 전 대통령/2003년 10월]
    "과거 국가 권력의 잘못에 대해 유족과 제주도민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주4.3의 국가책임을 인정한 지 15년.

    사건과 폭동, 학살, 반란, 항쟁 등 저마다 다른 평가를 내리면서 제주 4·3의 비석은 여전히 이름을 새기지 못한 '백비'로 남아있습니다.

    정권의 흐름에 따라 4·3위원회를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정쟁의 도구가 되기도 했습니다.

    [박세직/국가정체성회복국민협의회]
    "대한민국 국군과 경찰이 경찰이 학살했다. 이게 말이나 됩니까."

    희생자들의 위패를 불태우는 우익단체가 있고 제주4·3을 공산주의자들의 폭동이라고 알리는 모임도 생겨났습니다.

    [권호강/예비역영관장교연합회장]
    "양민이 죽은 것은 맞겠네요. 모르겠어요. 그건 모르겠고…"

    반면 제주도에선 화해 상생을 위한 움직임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무장대의 자손과 군인 경찰의 자손들 피해자와 가해자가 서로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세배"

    역사적 진실 규명을 통해 4,3의 제 이름을 찾고, 이를 통해 피해자에 대한 국가배상은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현기영/순이삼촌 작가]
    "군부 경찰 바로 여기에서 그들이 사과를 해야 진정한 사과가 되고 그것이 받아들여져서 진정한 화해가 되고…"

    "우리아가 언제 오나."

    자식을 잃고, 부모를 잃고, 형제·자매를 잃고, 강요된 침묵 속에 피해자 대부분이 이미 고통스런 삶을 마쳤습니다.

    역사를 기억하고 바로세우는 것은 살아남은 사람들의 몫입니다.

    MBC뉴스 김주만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