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김민욱

세월호 참사 이후 바다는?…해상사고 더 늘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바다는?…해상사고 더 늘었다
입력 2018-04-17 20:35 | 수정 2018-04-17 20:37
재생목록
    ◀ 앵커 ▶

    어제(16일) 세월호 4주기를 맞아 특집 뉴스를 전해드린 데 이어서 오늘은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 사회가 점검하고 살필 것들을 제시합니다.

    먼저 바다는 안전해졌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이 내용은 김민욱 기자가 준비했습니다.

    ◀ 리포트 ▶

    해양사고는 오히려 세월호 참사 이후 늘어났습니다.

    작년에는 2,882척의 선박에서 사고가 났는데 2014년에 비해 거의 2배입니다.

    인명피해도 2015년에는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2014년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지만,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4년 동안 안전해졌다고는 결코 말할 수 없는 수치들입니다.

    [노호래/군산대 해양경찰학과 교수]
    "인적과실, 사람이 주의 의무를 소홀히 해서 발생하는 사고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해양사고 구조 주무 부처인 해양경찰은 달라졌을까?

    조직 해체라는 수모까지 당했던 해경은 중앙해양특수구조단을 창설하는 등 특수구조 인원을 늘리고 대형 헬리콥터 등 장비도 보강했습니다.

    올해 초에는 140억 원이 투입된 잠수지원함이 취역했습니다.

    동시에 4명의 잠수사가 최대 수심 60미터에서 구조작업을 할 수 있고 감압챔버와 무인원격로봇도 갖췄습니다.

    하지만 대형 사고에 대비하기에는 아직도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진교중/전 해군 해난구조대장·예비역 대령]
    "(최소 잠수지원함) 3척 더하기 잠수사 180명이 있어야 24시간 (수심) 60미터까지 구조가 가능하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지난 2015년 도입된 해사안전감독관 제도는 단 36명의 감독관이 2016년 한 해에만 2천2백 척이 넘는 선박을 점검하는 실정입니다.

    인천 영흥도 앞바다에서 전복돼 15명이 숨진 '선창1호'와 같은 낚싯배는, 사실상 다중이용선박이지만 어선으로 분류돼 선주가 자체 안전점검만 실시하는 등 규정의 허점도 그대로입니다.

    참사의 기억은 또렷해도 그만큼 대처 능력이 커졌는지 의문부호는 계속 남아있습니다.

    MBC뉴스 김민욱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