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조국현

'비핵화·유해송환' 중점 논의…북미 협상 전망은?

'비핵화·유해송환' 중점 논의…북미 협상 전망은?
입력 2018-07-06 20:08 | 수정 2018-07-06 20:14
재생목록
    ◀ 앵커 ▶

    폼페이오 장관은 김정은 위원장과 비핵화 후속 조치와 미군 유해 송환 문제, 이 두 가지를 핵심적으로 논의할 텐데요.

    이 의제들에 대해 더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스튜디오에 조국현 기자 나와 있습니다.

    조 기자, 먼저 비핵화 협상부터 보죠.

    폼페이오 장관이 평양 가는 길에 트위터 메시지 쓴 걸 보면 'FFVD'라는 말을 또 언급했는데.

    이게 상당히 중요한 포인트인거죠?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미국은 조지 W 부시 행정부 때부터 북핵 해법의 원칙으로 CVID,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핵폐기'를 제시해왔었습니다.

    하지만 북한 입장에선 특히 '불가역적'이라는 단어를 '항복'이나 '투항'의 의미로 받아들이면서 강한 거부감을 보여왔습니다.

    ◀ 앵커 ▶

    그렇기 때문에 지난번 싱가포르 북미 공동성명 때도 'CVID'라는 표현이 빠졌던 거 아닙니까?

    ◀ 기자 ▶

    그렇습니다.

    ◀ 앵커 ▶

    그런데 CVID나 FFVD 영어단어 공부하는 것 같아서 그렇긴 합니다만, 사실 중요한 대목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차이를 짚어보죠.

    ◀ 기자 ▶

    두 용어에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는 알파벳 'V'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CVID의 V는 verifiable, 검증 가능을 말하고요, FFVD의 V 앞에는 Fully란 수식어가 붙어서 '완전하게 검증된' 이런 뜻이 됩니다.

    따라서 FFVD는 검증에 확실히 방점이 찍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앵커 ▶

    검증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건 알겠는데, 그게 왜 CVID라는 말을 썼을 때보다 미국이 한발 양보한 걸로 평가하는 겁니까?

    ◀ 기자 ▶

    비핵화의 단계는 보통 4단계로 분류합니다.

    1단계는 '신고', 2단계는 '검증', 3단계는 '불능화', 못 쓰게 한다는 거고요.

    그리고 아예 없애버리는 '폐기' 이렇게 4단계입니다.

    CVID의 'I'는 여기서 3단계 내지 4단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핵 협상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돌이킬 수 없는 폐기.

    이런 얘기부터 하니까, 북한으로선 '아무것도 못하게 손발 다 묶어놓고 무슨 협상을 하자는 거냐' 이렇게 그동안 반발했던 거고요.

    그래서 이런 북한의 입장을 반영해서 우선 비핵화의 초기 단계에 집중하자는 게 바로 'FFVD'인 겁니다.

    다시 말해 북한에 비핵화 데드라인을 제시하면서 몰아붙이는 대신에, 당장에 할 수 있는 것, 즉 신고와 검증이라도 확실히 하자, 이런 차원에서 양보를 했다는 것입니다.

    ◀ 앵커 ▶

    알겠습니다. 다른 한 가지요, 미군 유해 송환 문제도 빼놓을 수 없는 문제인데.

    지금 유해가 얼마나 됩니까?

    ◀ 기자 ▶

    북측에 남아 있는 미군 유해는 5천여 구 정도가 됩니다.

    예를 들어 이번 폼페이오 방북을 계기로 장진호 전투 지역 등에서 대대적인 유해발굴이 이뤄질 수도 있습니다.

    장진호 전투는 미군 역사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패배로 기록되고 있는데요.

    유엔군 1만 7천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상당수의 유해가 그 지역에 있을 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 이번에 유해 송환이 성사될 경우 9월 유엔 총회 초청을 기대하고 있는 김 위원장 입장에서는 인도주의적인 지도자 이미지를 줄 수 있고요,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도 유해 송환을 통해 추모 분위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측 모두에게 윈윈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 앵커 ▶

    그러면 이번 북미 협상, 조 기자는 어떻게 전망을 해요?

    ◀ 기자 ▶

    우선 가시적인 성과로 미군 유해 송환은 성사될 것이 거의 확실해 보이고요.

    문제는 비핵화 협상인데, 검증을 하려면 먼저 핵무기와 핵물질, 핵시설에 대한 북한의 자발적 신고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폼페이오 장관이 이번에 북한으로부터 "핵 신고 리스트를 늦어도 올해 안에 하겠다" 이 정도의 약속만 받아내도 소기의 성과를 거두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 앵커 ▶

    조 기자, 잘 들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