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전준홍

빈집 찰 때까지 휴대전화 먹통…"전화받으러 싱크대 위로"

빈집 찰 때까지 휴대전화 먹통…"전화받으러 싱크대 위로"
입력 2018-10-16 22:43 | 수정 2018-10-16 23:09
재생목록
    ◀ 앵커 ▶

    어디 오지나 외딴 무인도 얘기가 아닙니다.

    수도권 신도시 새 아파트에 부푼 마음으로 입주를 했는데 휴대전화가 안 터진다면 어떠시겠습니까?

    이게 한두 아파트만의 얘기가 아니라 요즘 입주하는 신도시 아파트 상당수에서 겪는 일이라고 합니다.

    그 이유를 전준홍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두 달 전 입주가 시작된 경기도 동탄의 한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에 들어서면서부터 휴대전화가 잘 터지지 않습니다.

    집안에서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휴대전화의 전파 수신 세기를 나타내는 막대표시가 사라지고, 전화도 문자도 전송이 안 됩니다.

    [입주민]
    "집에서는 전혀 통화 불가 상태고, 입주 청소를 맡겨놨는데 그 사람들하고 통화가 전혀 안 되는 거죠."

    전파가 그나마 잡힌다는 지하주차장에서 집안의 다른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내봤습니다.

    아직 제가 보낸 휴대전화 문자가 도착하지 않았습니다.

    이 전화를 가지고 싱크대 옆으로 이동해보겠습니다.

    보낸 지 10여 분만에 메시지가 도착합니다.

    "핸드폰은 항상 창가에 놔두고 전화가 오면 싱크대 위에 올라가서 받고…"

    이 아파트에서 휴대전화가 안 터지는 건, 단지 내에 이동통신사 중계기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중계기 설치는 보통 입주민이 70%가량 들어오면 입주자대표회의를 결성해 이동통신사와 협의해 결정을 하는데, 입주가 더딘 탓에 주민 간 논의 자체가 안 되는 겁니다.

    [건설사 관계자 ]
    "입주자 대표회의에서 정해줘야 되는데, 입주율이 (기준을) 넘어야 입주자 구성을 할 수 있죠."

    가까스로 입주가 마무리되더라도 전자파 문제로 자기 집 앞 중계기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 설치까지는 산 넘어 산입니다.

    [신도시 부동산중개업소]
    "두 달 다 돼가는데, (입주율) 60%는 많은 거에요. (다 차려면) 6개월은 걸리죠."

    올해 전국의 아파트 입주는 역대 최대인 44만 가구로, 입주물량이 몰린 대규모 신도시를 중심으로 휴대전화 먹통 사태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전준홍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