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이재민

수질 측정하고 환경 연구하고…"산업용 드론이 해법"

수질 측정하고 환경 연구하고…"산업용 드론이 해법"
입력 2018-11-18 20:21 | 수정 2018-11-18 20:22
재생목록
    ◀ 앵커 ▶

    보신 것처럼 대량 생산을 앞세운 중국 업체와 경쟁해서는 승산이 많이 없습니다.

    그래서 국내 업체들은 산업용 드론으로 승부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산업용 드론 지원을 위한 정부의 선제적인 규제 완화도 필요하겠죠.

    이어서 이재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검은색 공같은 드론이 하천 위로 날아갑니다.

    2미터 길이 관을 수면 위로 떨굽니다.

    강 구석구석 원하는 대로 날아가 펌프로 물을 퍼올립니다.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보트로 한나절 다니던 시간이 한두 시간으로 줄었습니다.

    갯벌 퇴적물을 채취하는 제품까지 나와 환경 연구에 쓰는 드론 활용도를 대폭 늘렸습니다.

    [엄성용/산업용 드론 업체 대표]
    "지금 형성돼 있는 드론 시장보다는 (산업용 드론이) 훨씬 더 크고 훨씬 더 부가 가치가 많이 남는 시장이기 때문에, (중국을) 다시 따라잡을 수 있지 않을까…"

    세계 시장에서 취미용 드론은 재작년 22억 달러에서 10년 뒤까지 연 평균 8% 정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산업용은 50%씩 늘어날 전망입니다.

    공중에서 대형 건축물 공사 진행도를 파악하거나 농작물에 농약을 뿌리는 등, 특히 건설과 농업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정부가 3년 동안 공공 기관에 드론 3천 2백대를 보급하기로 했지만, 우선 수요에 맞는 드론을 개발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춘배/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
    "드론 사들이고 하는 그런 것보다는,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훨씬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이러이러한 데이터가 필요하다'하는 것을 먼저 주라는 거죠."

    중국은 지난 2014년부터 측량에 드론을 쓰고, 일본에서도 재작년 건설 현장 측량에 반드시 드론을 사용하도록 규정했습니다.

    한국은 드론 측량 자료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보통 3미터 높이에서 작업하는 농사용 드론조차 닷새 전에 공군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MBC뉴스 이재민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