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손병산

'만만하게' 버릴 데가 없다…곳곳 불법소각 '뭉게뭉게'

'만만하게' 버릴 데가 없다…곳곳 불법소각 '뭉게뭉게'
입력 2018-12-21 20:38 | 수정 2018-12-21 21:17
재생목록
    ◀ 앵커 ▶

    올 상반기 전국적으로 쓰레기 대란과 함께 큰 혼란이 있었죠.

    시간이 지나면서 대란은 조금 잠잠해진 듯 하지만, 구조적으로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문제가 남아있다고 합니다.

    손병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경기도 화성의 한 재활용 업체.

    폐플라스틱을 잘게 부수고 세척한 뒤 열을 가해 녹이면 일정한 크기의 플라스틱 조각 '펠렛'이 만들어집니다.

    중국은 폐플라스틱의 수입을 금지했지만, 재활용 공정을 거친 펠렛은 원재료로 취급해 수입하고 있습니다.

    [노환/재활용업체 대표]
    "2만 5천톤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가지고 있는데, 지금 중국에서 우리한테, 우리 회사한테만 요구하는 게 6만톤이에요, 연간."

    그런데 업체가 활용하는 폐플라스틱은 60%가 일본과 호주에서 온 수입품입니다.

    국내에서도 폐플라스틱은 쏟아져 나오지만, 재질과 수거 상태가 좋지 않아 사용이 안 되는 겁니다.

    재활용 업체에서 기피되는 폐플라스틱은 어디로 가는 걸까.

    '쓰레기 산'으로 불리는 폐기물 불법 방치 현장입니다.

    5천 5백여톤에 달하는 쓰레기가 쌓여 여러 개의 언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렇게 재활용이 충분히 가능해보이는 폐플라스틱도 버려져 방치돼 있습니다.

    경기도에만 이런 현장이 61곳, 쓰레기는 66만톤에 달할 걸로 추산됩니다.

    이런 쓰레기들은 방치에 그치지 않고 불법으로 소각되기도 합니다.

    환경부가 적발한 불법 소각은 올 상반기 7천6백여건으로 지난해 전체보다 많았습니다.

    정식으로 소각하는 방법이 있지만, 늘어나는 폐기물을 소각 시설이 감당하지 못하면서 소각 비용은 매년 15% 이상 크게 올랐습니다.

    [배재근/서울과학기술대 환경공학과 교수]
    "쓰레기가 갈 곳이 없어져 버렸어요. 처리용량이 현재 (충분히) 있는 것도 아니고. 적체되다보니까 이걸 그냥 불법 투기를 하고"

    그동안 이런 폐기물들은 해외로 수출해왔지만 중국이 수입을 거부하면서 그 양이 1/3로 급감했습니다.

    이러다 보니 브로커들이 등장해 싸게 처리해주겠다며 폐기물을 넘겨 받은 뒤 불법 투기를 하거나, 중국보다 규제가 약한 동남아로 보내 국제 문제까지 일으키는 겁니다.

    정부는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을 고형 연료로 만들어 열병합 발전소에 쓰는 것도 고려하고 있지만 주민 반대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강력한 단속과 함께 근본적으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정부는 내년 초 포장재 감량 대책을 발표하고, 배달 포장 등의 실태조사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손병산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