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윤상문

흙 덮치는 건 '순간적'인데…무방비 '땅파기' 여전

흙 덮치는 건 '순간적'인데…무방비 '땅파기' 여전
입력 2018-12-22 20:17 | 수정 2018-12-22 21:15
재생목록
    ◀ 앵커 ▶

    제천 화재 참사가 발생한 지 어제(21일)로 1년입니다.

    우리 주변은 여전히 곳곳이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특히 공사 현장, 그중에서도 소규모 공사장의 안전 불감증은 심각합니다.

    사고가 반복되는데도 왜 고쳐지지 않는 걸까요.

    윤상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배관을 땅에 묻다 흙더미에 깔려 작업자 2명이 숨진 지난 5일 파주시 공사장 사고.

    불과 9일 뒤 인근 고양시에서도 비슷한 사고로 1명이 숨졌습니다.

    두 곳 모두 땅을 파내려갈 때 주변의 지반 침하나 붕괴를 막아줄 '흙막이'를 세우지 않았습니다.

    공사 현장은 곳곳이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경기도 남양주의 한 전선 매립 공사장.

    깊이 2m 가량 땅을 파고 내려가 작업자들이 전선을 연결하고 있습니다.

    양쪽 절개면이 언제 무너져내릴지 모르게 위태롭지만, 방지 시설은 없습니다.

    인근의 대규모 공사 현장도 마찬가지.

    작업 중인 굴착기 옆 바로 아래서 자재를 나르는 사람들이 보입니다.

    굴착기 추락이나 흙벽 붕괴를 막을 안전 시설이 왜 없냐고 물어봤습니다.

    [공사 현장 관계자]
    "그렇게 따지고 이해하시면 뭐 아예 작업을 못 하죠. 흙막이를 하고 계속해야 하는데, 설계를 다시 바꿔야 되겠죠."

    지난 13일 안산의 온수관 파열 복구공사 현장 역시 흙막이 시설 없이 작업자들이 위험에 그대로 노출됐습니다.

    깊이 3.6미터, 너비 1.5미터를 기준으로 할 때 쌓아놓은 흙이 무너지면 순간적으로 1톤 이상의 충격이 인체에 가해집니다.

    안에 있는 작업자가 피하거나 빠져나올 여유도 없습니다.

    [김천규/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
    "(흙이 떨어지는 데) 0.7초 정도 걸리는 것으로 계산됩니다. (흙이 덮쳐) 순간적으로 쓰러지고 난 다음에 공간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사람이 손으로 허우적거린다거나 그런 것들이 불가능하고요."

    이곳은 5미터 깊이의 공사현장입니다.

    보시는것처럼 이런 철제 판넬을 설치해야 흙벽이 무너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사고는 대개 예산이 적고 작업 기간이 짧은 소규모 공사현장에서 발생합니다.

    이런 곳은 흙막이를 설치하는 데 3백만원 정도면 충분하지만 이마저도 무시되기 일쑤입니다.

    [김성남/대한민국 산업현장교수]
    "현실적으로 규정대로 지켜지지 않은 현장이 열에 아홉은 된다고 봐야죠."

    감시의 사각지대에서 사고가 빈발하는 소규모 공사장에 대해 관리·감독이 강화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MBC뉴스 윤상문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