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조희형

[소수의견] 아이는 가고싶다는데…"사고날라" 학교는 난색

[소수의견] 아이는 가고싶다는데…"사고날라" 학교는 난색
입력 2018-12-30 20:31 | 수정 2019-10-07 17:04
재생목록
    ◀ 앵커 ▶

    스스로 숨을 쉬고 밥을 먹기 어려운 중증 장애 아동들은 학교에 가도 부모가 곁을 지켜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복잡하거나 어렵진 않아도 꼭 필요한 보살핌이 있어야 하는 건데요.

    그런데도 많은 특수학교들이 간단한 도움조차 줄 수 없다며 손사래를 친다고 합니다.

    그 속사정을 조희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뇌병변 장애로 특수학교에 다니는 14살 희주.

    수업 시작 때마다 가래를 제거하는 '석션'을 해야 합니다.

    기도가 쉽게 쪼그라드는 호흡기 질환 탓에 1시간마다 조치를 해주지 않으면 숨조차 제대로 쉴 수 없는 겁니다.

    한 번에 5분 남짓 걸리는 석션을 위해 어머니나 활동 보조인은 늘 곁을 지켜야 합니다.

    [조지연 / 희주 어머니]
    "항상 저는 대기조예요. 어떠한 상황이든간에. 제가 먼저 올 수 있는 상황이면 와야되고. 그리고 학교에서 가장 그걸 요구하시고요."

    팔다리를 움직일 수 없는 15살 명진이의 특수학교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위장과 연결된 '위루관'으로 음식을 받는 명진이의 점심 한 끼를 챙기는 건 오롯이 부모의 몫입니다.

    [박승미 / 명진 어머니]
    "초등학교 밑에 동생 2학년 짜리가 있는데 제가 없는 상태에서 집을 와야되니까.. 빚을 내서 무리하게 학교 앞으로 이사오게 됐어요."

    이처럼 간단하지만 필수적 도움이 필요한 중증 장애 학생은 전국에 8천여 명으로 추산되는데, 대부분 가족이나 별도 고용한 보조인에게 의지하는 형편입니다.

    견디다 못한 희주 어머니는 '학교 측이 석션을 도와달라'며 지난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냈고, 인권위는 특수학교 보건교사의 석션 지원과 교육부의 관련 지침 마련을 각각 권고했습니다.

    하지만 특수학교들은 '보건교사들이 반대한다'는 이유로 지원을 미루고 있습니다.

    석션이나 위루관처럼 비교적 단순한 일도 현행법상 의료행위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자칫 법적 부담까지 떠안아야 해 장애학생 수가 많은 특수학교들이 오히려 지원을 꺼리는 실정입니다.

    [특수학교 관계자]
    "교사가 의료행위를 하다 문제가 생기면 책임을 져야 되잖아요. 그런 책임을 교장이나 보건교사는 못 진다는 얘기죠."

    보건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MBC와의 통화에서 "의료인의 교육을 받았고, 심각한 부작용이 예상되지 않는 행위면 의료법 위반을 빌미로 처벌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 역시 학교의 의료지원으로 문제가 생겨도 책임을 묻지 않는 내용의 학교보건법 개정을 추진 중이라고 했지만 정작 발의된 법안은 없습니다.

    이같은 무관심 속에 중증 장애아동 중 절반인 4천여 명은 학교에 다니는 걸 포기했고, 집이나 시설에서 교사의 방문 수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학교생활을 통해서라도 다른 사람과 교감하고 사회성을 기르는 게 절실한 중증 장애아들, 그래서 부모들은 학교를 포기할 수 없습니다.

    [조지연 / 희주 어머니]
    "학교에서의 수업 내용에 되게 만족해 하고 더 많은 걸 배워오려고 하고, 수술 때문에 학교를 못 가는 경우가 많이 있었죠. 그럴 때 정말 친구들 많이 부르고요. 그냥 허공에 대고 불러요."

    MBC뉴스 조희형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