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최유찬

"최근 4년 사이 결핵 확진자 100여 명 파악 안 돼"

"최근 4년 사이 결핵 확진자 100여 명 파악 안 돼"
입력 2018-10-10 06:14 | 수정 2018-10-10 06:15
재생목록
    ◀ 앵커 ▶

    며칠 전 결핵 환자가 지하철에 탑승해 승객들이 대피하고, 전동차를 소독하는 소동이 있었습니다.

    환자가 쉽게 병원에서 나와 이동했다는 사실에 정부의 감염병 관리 체계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는데요.

    결핵환자 관리, 제대로 되고 있을까요?

    최유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결핵 검사를 위해 채취된 혈액이 담긴 튜브들이 가득합니다.

    결핵 판정은 보통 X레이 검사로 하지만, 잠복 결핵 판정은 혈액 검사로 이뤄집니다.

    잠복 결핵이란 증상도 전염성도 없지만, 결핵균을 갖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신소연/결핵연구원 진단검사의학센터장]
    "(잠복 결핵) 양성률은 연령대마다 많이 차이가 나는데 높은 경우에는 30%까지 나타나고 있고요. 잠복 결핵 자체가 결핵균을 전파시키는 전염성이 있는 건 아니기 때문에…"

    정부는 지난해 89억 원을 들여 처음으로 의료기관, 어린이집 종사자 등 120만 명에 대한 잠복 결핵 검진을 진행했는데, 약 11%인 14만여 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 중 10% 정도는 실제 결핵으로 발전하는데, 약만 꾸준히 복용하면 결핵 발생률을 최대 90%까지 낮출 수 있어 치료도 적극 권장했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이 예산을 16억 원으로 대폭 줄였습니다.

    의료기관 등 집단 시설 종사자들이 입사할 때부터 잠복 결핵 검사를 의무화하자는 법안도 나왔지만, 복지부는 과도하다며 활동성 결핵 검사만 하자는 입장입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
    "제재(잠복 결핵 치료)는 강제적으로는 못하잖아요. 현 상황이 베스트인 것 같아요."

    전문가들은 정부의 오락가락한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입니다.

    [이재갑 교수/한림대 강남성심병원]
    "2,3년 전만 해도 결핵을 없애는데 잠복 결핵 치료가 상당히 중요하다라고 얘기를 했는데 (현장에서는)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것 같은 느낌은 받지 않아 가지고요."

    그렇다고 결핵 환자 관리가 완벽한 것도 아닙니다.

    해마다 400억 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하지만 지난 2014년부터 4년간 결핵 확진 환자 113명이 치료를 거부하거나 혹은 중단한 채 사라졌습니다.

    [최도자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부가) 연락이 안 되는 결핵 환자들을 찾아볼 생각도 안 하고 있습니다. 전담팀을 마련하는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오는 2035년까지 결핵 퇴치 수준인 10만 명당 10명 이하까지 결핵 발병률을 낮추는 것이 정부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적극 치료도, 적극 예방도 아닌 일회성 정책들론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최유찬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