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이재민

"흔들렸는데"…문의 잇따라도 정보는 '자기들끼리만'

"흔들렸는데"…문의 잇따라도 정보는 '자기들끼리만'
입력 2019-03-22 20:04 | 수정 2019-03-22 20:27
재생목록
    ◀ 앵커 ▶

    보통, 건설 공사를 보면 공사를 하는 시공회사가 있고 이 과정을 감시하는 감리회사가 따로 있습니다.

    그런데 포항 지열발전소 사업은 공사 사전 조사부터 위기 대응까지, 자신들의 컨소시엄 내부에서만 폐쇄적으로 진행됐고 결국 관리 부실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재민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열 발전소 사업단은 사전 정밀 조사를 '허가받기 어렵다'는 이유로 하지 않았습니다.

    [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
    "다이너마이트를 쓰려면 허가를 맡아야 하는데, 허가를 맡기가 어려워요."

    이런 결정이 타당했는지 자문해 줄 수 있는 국책기관 가운데 하나가 지질자원연구원입니다.

    그런데 지질자원연구원은 사업단의 일원이었습니다.

    역시 국책연구기관인 건설기술연구원도 사업단에 참가하고 있었습니다.

    국가 차원의 지원이라는 취지는 좋았지만, 심판이 선수로 뛰는 것과 같은 부작용이 잇따랐습니다.

    발전소 건설부지 단층 조사를 안 하기로 한 결정도, 지진이 나면 정부에 보고할 지 말지 결정도, 모두 사업단 스스로 내렸습니다.

    그나마 외부에서 자문을 하러 왔던 스위스 연구진은 6개월 만에 철수해버렸고, 사업단은 목표 기술을 달성했는지 여부조차 모두 스스로 평가했습니다.

    사업을 발주한 정부도 건설 과정을 제대로 살피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에너지기술평가원에 중간 관리 감독을 맡겼다며 그 곳에 물어보라는 입장이지만, 에너지기술평가원 역시 63번 지진이 나는 동안 포항 시민들에게 한 번도 알리지 않았습니다.

    모든 정보가 내부에서만 돌다보니, 지진이 난 뒤에도 시민들은 최소한의 정보조차 얻을 수 없었습니다.

    [정상모/포항지진공동연구단장 교수]
    "물 부었을 때 어떤 지진이 났는지 분명히 데이터들이 있을 텐데, 그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해도 구할 수가 없었거든요."

    국가 차원의 대형 사업일수록, 더구나 처음 해보는 기술일수록, 더욱 투명하고 꼼꼼한 감시체계를 갖췄어야 한다는 비판이 그래서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재민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