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박영회

[정참시] 너도나도 '제주'로…그런데 법안은? / "비슷한 처지" 뜻밖의 고백

[정참시] 너도나도 '제주'로…그런데 법안은? / "비슷한 처지" 뜻밖의 고백
입력 2019-04-03 20:40 | 수정 2019-04-03 20:41
재생목록
    ◀ 앵커 ▶

    정치에 참견해보는 시간, 정치적 참견시점, 박영회 기자 나와있습니다.

    첫번째 소식 제목이 너도나도 제주로.

    제주 4·3 관련 소식이네요.

    ◀ 기자 ▶

    네, 오늘 여야 5당 대표가 모두 제주도로 출동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5명이 나란히 검은 정장 차림으로 추도식에 참석했고, 가슴에 검은 리본도 달았습니다.

    최근 "제주 4·3은 대한민국 역사다" 인증샷을 찍는 릴레이 운동도 있었는데, 한국당 황교안 대표, 신보라 최고위원 등 야권 인사들도 동참했습니다.

    여야를 가리지 않고 4·3 특별법안을 신속히 처리하겠다는 다짐도 나왔습니다.

    들어보시죠.

    [이재정/더불어민주당 대변인]
    "여전히 숙제가 많습니다. 제주 4·3 사건의 완전한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해 만전을 기할 것입니다."

    [김관영/바른미래당 원내대표]
    "조속한 법 개정, 특별법 제정 이후에 후속작업까지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앵커 ▶

    신속 처리하겠다는 법안들은 지금 어느 정도까지 진척이 됐습니까?

    ◀ 기자 ▶

    발의된 법안은 모두 5개고, 각각 명예회복, 보상, 왜곡 처벌.

    이런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두 상임위, 행정안전위원회에 멈춰 있습니다.

    2년 8개월이 지난 것도 있고, 1년 넘은 것도 있고요.

    그동안 제대로 논의했냐 하면 그것도 아닙니다.

    작년 9월에 한 번, 그리고 그제 4월 1일.

    딱 두 번 안건에 올렸습니다.

    4·3을 앞두고 부랴부랴 다시 꺼낸 건데 진전도 없었습니다.

    가장 소극적이란 지적을 받은 한국당의 입장, 들어보시죠.

    [나경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법이라는 것은 우리가 조심스럽게 검토하고 신중하게 검토해야 되기 때문에, 저희도 그 부분에 대해서는 속도를 내서 잘 검토하자…"

    ◀ 앵커 ▶

    4·3 특별법을 두고 한국당은 왜 소극적인 거죠?

    ◀ 기자 ▶

    아무래도 4·3를 보는 시각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 같고요.

    표면적으로는 보상금 규모가 커질 수 있다 이런 우려를 들고 있습니다.

    ◀ 앵커 ▶

    보상금 규모를 두고 한국당이 왜 우려를 하는지 사실 이해가 되지는 않는데요.

    4월만 되면 제주를 걱정하는 정치인들 보면, 유족들도 참 답답할 것 같습니다.

    다음 소식 볼까요.

    ◀ 기자 ▶

    네, 계속해서 4·3 관련 소식 준비했습니다.

    이낙연 총리의 오늘 추도사가 화제였는데, 도중 울컥하기도 했고, 가족사도 고백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이낙연/국무총리]
    "젖먹이, 임신부…팔순의 노인까지 '광기의 폭력'을 피하지 못하셨습니다. 위로와 경의를 표합니다. 저 또한 여러분과 '비슷한 처지'라는 '개인적인 고백'을 드립니다."

    ◀ 앵커 ▶

    "저 또한 비슷한 처지다"

    비슷한 개인사가 있다는 얘기로 들립니다.

    ◀ 기자 ▶

    네, 우리 출입기자가 총리에게 직접 물어봤는데, 이 총리는 한국전쟁 중이던 1952년 1월 전남 영광에서 태어났고, 당시 신혼이던 작은 아버지와 함께 살았는데, 군인도 아닌 작은 아버지가 양민학살의 피해자로 돌아가셨다고 했습니다.

    영광에선 좌우 양측 모두 양민학살을 한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이 총리는 삼촌이 어느 편에 의해 돌아가셨는지까진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이 영향으로 이 총리는 국회의원이 됐을 때 양민학살 관련법을 가장 먼저 발의했고, 4·3 유족들과도 교류해 왔다고 했습니다.

    ◀ 앵커 ▶

    사실 우리 주변에 이런 아픈 가족사를 가지고 계신 분들 많을 텐데.

    앞서 얘기했던 특별법처럼 더 늦지 않게 이런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조치들 마련돼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정치적 참견시점 박영회 기자였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