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이정신

기억은 사라져도 '존엄'은 남는다…치매 안심마을

기억은 사라져도 '존엄'은 남는다…치매 안심마을
입력 2019-04-08 20:30 | 수정 2019-04-08 20:31
재생목록
    ◀ 앵커 ▶

    정부는 재작년, 치매를 더 이상 환자 개인과 가족한테만 맡기지 않겠다면서 '국가 책임제'를 선포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 발상을 뒤집어서 오히려 국가의 지원에만 의존할 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이 치매 환자를 다함께 돌보는 치매 공동체, 이른바 '치매 안심마을'이 대안으로 시도가 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이정신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마을 치매 환자들에게 제공된 특수 신발입니다.

    신발 안창에 위치 추적기가 달려 있어 치매 환자들이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는 지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습니다.

    [범수연/치매안심마을 주무관]
    "안심존을 반경을 설정할 수 있어요. 그 반경을 벗어나게 되면 보호자 핸드폰이랑 (치매)센터 담당자 핸드폰에서 알람이 울려서 연락을 바로 취하게 하는…"

    작년에 50켤레를 나눠줬는데 반응이 좋아, 올해는 100켤레 더 지급할 예정입니다.

    주민 6명 중 1명이 노인인 이 마을은 지난 2017년부터 치매안심마을로 지정됐습니다.

    환자들을 상대로 한 치매 진행 예방 교육과 환자 가족들의 돌봄 상담은 기본.

    [치매 환자 가족]
    "기억력은 그래도 괜찮은 편이신데, 망상 증세가 굉장히 심하세요."

    [박지원/치매안심마을 교육담당]
    "치매라고 해서 뭐든지 강압적으로 하면, 설명 없이 하면, 어르신들이 매우 싫어해요."

    카페나 은행, 편의점 등 마을 곳곳의 업소들을 치매 도우미로 참여시켜, 마을을 배회하는 치매 어르신들을 일시적으로 보호하고 신고할 수 있게끔 했습니다.

    [허은혜/'치매 프렌즈' 지정 카페]
    "아무래도 주변에 지나가시는 분, 건널목 건너시는 분들 보면 관심을 가지게 되더라구요. 어르신들, 몸이 불편한 분들도 보게 되고…"

    마을 환경 자체를 치매 친화적으로 조성해, 지역 주민들과 치매 환자들이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겁니다.

    [범수연/치매안심마을 주무관]
    "(이웃들이) 치매 환자라는 걸 알면, '약간 이상한데? 어디가시지?' 그러면 가족분들에게 바로 알려줄 수도 있고, 좀 더 도움을 줄 수도 있는…"

    이런 환경 조성이 가능했던 건 '나도 치매에 걸릴 수 있다'는 지역 주민들의 인식 변화때문입니다.

    정부는 올해부터 각 시군구 치매안심센터별로 치매안심마을 1곳 이상씩을 지정해 운영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치매안심마을의 성패는 치매를 고령화 시대 우리 모두의 과제로 받아들이느냐에 달려있습니다.

    MBC뉴스 이정신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