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이세옥

"장소·형식 구애 없이 회담"

"장소·형식 구애 없이 회담"
입력 2019-04-15 19:38 | 수정 2019-04-15 19:40
재생목록
    ◀ 앵커 ▶

    그러면 청와대 취재기자 연결해서 문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 행간에 담겨 있는 의미를 짚어보겠습니다.

    이세옥 기자.

    ◀ 기자 ▶

    네, 청와대입니다.

    ◀ 앵커 ▶

    장소와 형식에 구애받지 않겠다는 건, 한 마디로 "빨리 만나자" 이런 뜻으로 봐야겠죠?

    ◀ 기자 ▶

    네, 지금은 대화의 동력을 살려가는 게 중요하니까 일단 만나자는 건데요.

    '서울 답방'이나 이런 형식에 구애받지 말고 작년 5.26 판문점 회담처럼, 당일치기라도 좋다는 의미로 들립니다.

    그때와 마찬가지로 북미회담으로 가는 징검다리로 남북 회담이 꼭 필요하다는 게 문 대통령의 생각입니다.

    다만 진전된 결실을 맺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자고 강조한데서 알 수 있듯이, 이번에 만나면 트럼프 대통령이 전하는 비공개 메시지를 전달하고, 북미 간의 견해차를 좁혀보겠다는 의지도 읽힙니다.

    정상회담 시기에 대해선 북한 형편되는 대로 라고 열어놨는데요.

    말 그대로 북한의 호응 정도에 따라 유동적인 상황으로 봐야 할 겁니다.

    ◀ 앵커 ▶

    그래서 대북 특사 얘기가 계속 나오고 있는데 사실 특사도 상대방이 받아줄 만한 분위기가 조성돼야 보낼 수 있단 말이죠.

    ◀ 기자 ▶

    네, 남북 4차 정상회담을 열기 위해 가장 좋은 남북 접촉 방법이 대북 특사라는데 이견은 없습니다.

    김정은 위원장과 직접 만나서 소통하는 게 정상회담 주제나 방식 등을 논의하는데 가장 효과적일 겁니다.

    문제는 북한이 선뜻 응하겠냐는 겁니다.

    북한 입장에선 하노이 회담을 넘어서는 새로운 제안이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남북 정상 간 직접 대화를 피할 가능성이 있고, 이를 전제로 한 대북특사도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오늘 문 대통령 발언을 보면 대북 특사 논의에서 특별한 진척이 있다고 해석될만한 대목은 없었습니다.

    또, 대북특사가 가더라도 남북정상회담이라는 성과가 불투명한 상황인 만큼 비공개로 다녀올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입니다.

    특사로는 지난번에도 다녀온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이 유력하게 거론돼 왔는데요.

    정 실장은 공교롭게도 내일 출발하는 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에 동행하지 않습니다.

    안보실장이 순방에서 빠지는 건 이례적이라서, 순방기간 방북 가능성에 대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