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남상호

검-경 싸움 본질 아닌데…"수사기관 전반 힘 빼야"

검-경 싸움 본질 아닌데…"수사기관 전반 힘 빼야"
입력 2019-05-07 20:01 | 수정 2019-05-07 20:06
재생목록
    ◀ 앵커 ▶

    검찰 입장에서는 수사권 조정 문제를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번 논의가 검찰과 경찰 사이 어떤 권한을 주고 받을 지에 초점을 맞추다보면 정작 수사권을 조정하기로 한 애초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할 거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얘기인지 남상호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 리포트 ▶

    문무일 검찰총장은 '수사 개시권'과 '종결권'의 구분을 이야기했습니다.

    [문무일/검찰총장]
    "수사에 대한 사법적 통제와 더불어 수사의 개시, 그리고 종결이 구분되어야 국민의 기본권이 온전히 보호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경찰에게 독자적으로 수사를 종결할 권한을 주어서는 안된다는 뜻으로 '수사지휘'라는 말은 쓰지 않았지만 실질적으로 '수사지휘권'을 포기할 수 없다고 다시 한 번 강조한 겁니다.

    반면 검찰이 어떤 권한을 내려놓아야 하는지는 이야기하지 않았습니다.

    패스트트랙에서 논의할 법안대로라면 검찰은 경찰 수사에 일부 개입할 권한과 직접수사권-영장청구권-기소권을 갖게 되고 경찰은 좀더 강화된 직접수사권과 정보권을 갖게 됩니다.

    여기에 공수처는 고위공직자에 대한 직접수사권과 영장청구권, 기소권을 갖습니다.

    각자의 권한은 거의 포기하지 않은 채 다른 권한을 중복해서 갖게 되는 구조로 자칫하면 강력한 수사기관만 여러 곳 탄생시키는 결과가 될 수 있습니다.

    검-경 사이의 권한을 조정하는데 집중하다보면 오히려 부적절한 수사 진행이나 인권 침해 등을 방지하는 방안이 도외시될 우려가 있는 겁니다.

    [양홍석/변호사, 참여연대 공익법센터장]
    "검찰이 문제 있었던 것은 그대로 놔두고 경찰이 더 큰 자율성을 얻는 형태로만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양 기관 간에는 좋을 수 있겠으나 국민 입장에서 보면 이게 제대로 된 개혁적 조치라고 보긴 어렵죠."

    따라서 수사기관 업무의 경계에 선을 긋는 방식보다는 좀더 과감하게 검찰과 경찰의 권한을 축소하고 나누는 방향으로 앞으로의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MBC뉴스 남상호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