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장준성

'가동 중단' ESS 연쇄 화재…"삼성·LG 책임 못 묻는다"

'가동 중단' ESS 연쇄 화재…"삼성·LG 책임 못 묻는다"
입력 2019-05-29 20:08 | 수정 2019-05-29 20:23
재생목록
    ◀ 앵커 ▶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서 쓰는 장치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줄여서 ESS라고 합니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에선 필수적인 핵심 기술이고 수출 상품으로도 각광을 받았지만, 전국적으로 스무건이 넘는 의문의 화재가 발생하면서 '가동 중단'이라는 초유의 조치가 내려져 있는 상황인데요.

    6개월째 원인을 조사해온 정부가 최근 결론을 내렸는데, MBC가 그 내용을 입수 했습니다.

    관리 시스템과 설치 부실 등 여러 요인들이 작용해서 불이 난 것으로 보이고, 배터리 자체에선 직접적인 결함을 차지 못해서, 제조사들의 책임은 묻지 못한다는 겁니다.

    먼저 장준성기자입니다.

    ◀ 리포트 ▶

    불꽃이 터지고 놀란 사람들이 대피합니다.

    에너지저장시스템, ESS에서 불이 난겁니다.

    2017년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태양광 발전시설 12곳, 풍력 발전 시설 3곳 등 무려 22곳에서 ESS 연쇄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ESS 장비와 부품 대부분이 완전히 타버린 탓에 현장 조사로는 원인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
    "배터리실하고 인접한 공간에 있거나 배터리실 내부에 있기 때문에 다 소실되고 (증거가) 거의 남아있지 않습니다."

    ESS는 발전시설 뿐 아니라 백화점과 병원 등 다중이용시설에도 설치돼 있기 때문에, 정부는 전국 ESS 시설 1,490곳 중 절반을 즉시 가동 중단시켰고 '민관 합동 조사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

    22건의 화재를 유형별로 나누고 화재 당시와 비슷한 상황을 재현해 불이 나는지 보는 실험과 분석을 6개월간 계속했습니다.

    정부는 ESS 연쇄화재 원인이 딱 떨어지게 하나라고 볼 수는 없고,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

    이렇게 잠정 결론을 내렸습니다.

    ESS는 배터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인 BMS, 에너지 관리 시스템인 EMS 전력변환장치인 PCS 등으로 구성돼있는데 이 중 배터리 냉각장치를 제어하고 열이나 과전압을 감지해 이상시 전원을 차단하는 BMS와 EMS 등이 제기능을 못한 게 주된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조사위는 결론지었습니다.

    [정석환/세종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BMS(배터리관리시스템)라든지 이런 것들의 고장에 의해서 초기 발견이 안돼서 특정한 배터리 셀들이 과충전되는 걸 방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또 "환기가 잘 안되는 지하 밀폐공간에서 배터리가 좁게 설치된 경우, 암석 지형에 태양광 시설을 지으면서 낙뢰를 고려하지 않은 부실 시공도 화재를 부른 것으로 봤습니다.

    일부 배터리에 탑재됐던 저가 불량부품, 또 배터리 충전용량을 과도하게 높게 설정한 것도 원인일 수 있다고 봤지만 직접적 연관성은 밝히지 못했습니다.

    결국 조사위는 LG화학이나 삼성SDI등 배터리 제조사에겐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같은 조사 결과와 ESS 재가동 허용 여부를 다음달 5일 공식 발표할 예정입니다.

    MBC뉴스 장준성입니다.

    (영상취재: 황성희, 권혁용 / 영상편집: 장예은)

    [연관기사]

    1. '가동 중단' ESS 연쇄 화재…"삼성·LG 책임 못 묻는다"

    2. "새 기준 맞추려면 비용 껑충"…ESS 업계 '속앓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