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이재민

"새 기준 맞추려면 비용 껑충"…ESS 업계 '속앓이'

"새 기준 맞추려면 비용 껑충"…ESS 업계 '속앓이'
입력 2019-05-29 20:11 | 수정 2019-05-29 20:25
재생목록
    ◀ 앵커 ▶

    정부는 ESS 안전 대책과 기준을 새롭게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원인이 복합적으로 나온 만큼 대책과 기준을 다방면으로 강화하는데, 업계가 맞추려면 비용이 그만큼 늘고 가격 상승도 불가피 해졌습니다.

    이어서 이재민기자입니다.

    ◀ 리포트 ▶

    ESS 연쇄 화재 원인이 여러 가지, 즉 복합적이라는 결론이 내려지면서 안전 대책과 기준도 다각도로 강화됩니다.

    신산업이란 점 때문에 업체들 자체 가이드라인만 있던 안전 기준을 정부 차원에서 새로 만들기로 했습니다.

    우선 ESS 배터리 간격을 더 넓게 띄우고, 지하 시설 환기가 잘 되도록 기준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무자격자 설치를 막기 위해 ESS 관리와 시공 자격은 등급화하기로 했습니다.

    배터리 충전도를 제한하는 기준을 만들고, 과전압을 차단하는 장치 등 신기술 개발 지원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최기영/한빛안전기술단 연구소장]
    "하나는 (ESS) 시설에 대한 안전 관리고요. 하나는 제품에 대한 안전 관리.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쪽으로 시설 규정들이 개선되는 부분이 분명히 반영될 거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고요."

    삼성SDI와 LG화학 등 배터리를 생산하는 대기업과 중소 업체 200여 곳은 "적극 수용하고 따르겠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새 기준에 맞추려면 인력 교육에 생산 설비 조정도 필요해 비용이 대폭 오를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ESS 업체 관계자]
    "업체들 같은 경우에는 부과되는 규제나 제한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부담이 되는 일이기 때문에, 단가가 올라가면 결국 자기네들 영업 손실로…"

    한국 기업들의 해외 ESS시장 점유율은 현재 80%대, 시장 규모는 내년에 58조원을 넘어설 전망입니다.

    가격 경쟁력이 타격을 입을 거란 우려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ESS 안전 관련 국제 표준이 없는 상태에서 한국이 안전 기준을 선도할 수 있다"며 "안전성도 경쟁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업체들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안전 시스템 보강과 구축에 필요한 융자금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MBC뉴스 이재민입니다.

    (영상편집: 함상호)

    [연관기사]

    1. '가동 중단' ESS 연쇄 화재…"삼성·LG 책임 못 묻는다"

    2. "새 기준 맞추려면 비용 껑충"…ESS 업계 '속앓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