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임경아

직설적 화법에 맞대응 선포한 靑…'초강경' 배경은?

직설적 화법에 맞대응 선포한 靑…'초강경' 배경은?
입력 2019-08-02 19:43 | 수정 2019-08-02 19:44
재생목록
    ◀ 앵커 ▶

    앞서 보신대로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의 반응은 초 강경입니다.

    청와대를 연결해서 그 배경을 살펴 보겠습니다.

    임경아 기자.

    ◀ 기자 ▶

    네, 청와대입니다.

    ◀ 앵커 ▶

    오늘 대통령의 대국민 메시지를 보면요,

    마치 배수진을 치고 전쟁에 나서는 거 같은 느낌을 주거든요.

    이렇게 초강경 대응에 나선 그 만한 이유가 있다고 봐야겠죠?

    ◀ 기자 ▶

    그 문제와 관련해서 오늘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이 주목할만한 언급을 했습니다.

    김 차장은 일본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서도 도움보다는 장애를 조성했다고 비판했습니다.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한미연합훈련 연기를 반대하는가 하면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만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주장하는 등 긴장을 조성하는데 주력해 왔다는 겁니다.

    일본 아베 정권에 대한 청와대의 불신은 이때부터 싹이 텄을 수 있습니다.

    아베 정권과는 근본적으로 이해가 맞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은 거죠.

    그렇다해도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과의 전면전은 피하기 위해 외교적인 해법을 끊임없이 모색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이 모든 대화 창구를 막고 우리측의 일방적인 굴복을 강요하는 상황인 만큼 청와대로서도 물러설 수 없다고 판단한 걸로 보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김현종 차장은 윈스턴 처칠의 유명한 경구를 인용했는데요,

    싸워본 나라는 다시 일어나도 싸우지 않고 항복한 나라는 다시 일어나지 못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앵커 ▶

    전쟁 중에도 대화는 하는 법이거든요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조치가 시행되려면 20여일 정도 남아있단 말이죠.

    이 기간동안 외교적으로 해결할 가능성은 없는 겁니까?

    ◀ 기자 ▶

    청와대는 "문은 계속 열려있다"는 입장입니다.

    외교적 해법을 찾고 있다는 말인데, 다만 속내에서는 답답함이 읽힙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일본의 목적이 어디 있는지, 경제적 이유인지 정치적 이유인지 둘 다인지 신중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일본의 조치가 오랫동안 준비해온 다목적 카드일 수 있다는 얘깁니다.

    그래서 특사를 보내도 꿈쩍 안하고, 미국의 '관여'까지 즉각 거절했는데, 우리나 미국이 더 나서 일본을 설득한다 한들, 어느정도 효과가 있겠냐는 겁니다.

    때문에 청와대 안에서는 한일 관계가 질적으로 다른 단계로 접어드는 상황에 대비해, 장기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말도 나옵니다.

    청와대는 당장 오늘부터 김상조 정책실장이 이끄는 상황반과 윤건영 국정기획실장을 팀장으로 한 태스크포스를 꾸려 장단기 대책 마련에 착수했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