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아침 신문 보기] 젊빙연 "전명규측, 성폭행폭로 막으려 조직적 압박" 外

[아침 신문 보기] 젊빙연 "전명규측, 성폭행폭로 막으려 조직적 압박" 外
입력 2019-01-11 06:22 | 수정 2019-01-11 06:29
재생목록
    ◀ 앵커 ▶

    오늘 아침신문 보겠습니다.

    ◀ 앵커 ▶

    먼저, 국민일보입니다.

    ◀ 앵커 ▶

    신문은, 전 대한빙상연맹 부회장인 전명규 한국체육대 교수 측이 '젊은빙상인연대'의 빙상 코치 성폭행 폭로를 막기 위해 수개월간 조직적 압박을 가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신문에 따르면, 연대가 수개월 전 성폭행 사건을 인지했을 때부터 이번 폭로 직전까지 전 교수 측에서 선수들에게 지속적인 압박을 가해 왔다고 합니다.

    전 교수는 지난해 1월 쇼트트랙 심석희 선수가 처음 조재범 전 국가대표 코치에게 폭행당한 사실을 폭로했을 때도 다른 선수의 입막음을 시도한 정황이 국정감사에서 드러난 바 있는데요.

    조 전 코치는 전 교수의 최측근이자 빙상계 내 같은 파벌로 알려졌다고 합니다.

    ◀ 앵커 ▶

    중앙일보는, 해외 연수 중 가이드를 폭행하고 여성 접대부를 불러 달라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는 경북 예천군의회가 매년 해외 연수 계획서와 심사위원회 회의를 베끼다시피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러시아, 중국, 미국, 캐나다 등 최근 3년간 매년 방문 국가와 일정이 달랐지만 예천군의회 홈페이지에 공개된 심사위원회 회의록과 계획서를 보면, '복사 후 붙여 넣기'를 한 것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로 내용이 비슷했다고 합니다.

    서로 다른 사람이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같은 인사말을 하는가 하면, 질의응답 순서도 미리 짠 것처럼 매년 같은 질문과 답이 나왔다는데요.

    해외 연수 목적과 일정, 소요예산이 기재돼 있는 계획서도 유사한 문구가 반복됐는데, 이에 대해 군의회 관계자는 '담당자가 전임자가 했던 것을 참조해 그렇게 비치는 것'이란 해명을 내놨다고 합니다.

    ◀ 앵커 ▶

    아파트를 비롯한 다세대주택 화재 때 최초로 불이 난 집 거주자들이 현관문을 열어둔 채 대피하는 사례가 잦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관문을 닫지 않고 대피하면 연기와 불길이 순식간에 위층으로 번져 올라서 이웃들의 대피로가 연기와 불길에 막히게 된다는데요.

    실제로 최근 서울 삼성동 아파트 화재 때도 집주인이 현관문을 열어둔 채 대피해 연기를 들이마신 위층 주민이 계단에서 쓰러지는 일이 벌어졌고, 지난해 11월, 7명의 목숨을 앗아간 서울 종로구 고시원 화재 때도 불이 처음 난 곳의 거주자가 방문을 열어두고 대피해 인명 피해를 키웠다고 합니다.

    계단 방화문이 따로 없는 아파트는 가구별 현관문이 방화문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에 화재 대피 때 현관문을 열어두면 이웃에게 지옥문이 될 수 있다고 신문은 강조했습니다.

    ◀ 앵커 ▶

    한겨레는, KT가 서울 아현국사 통신구 화재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들에게 업종에 상관없이 통신장애 발생 일수만 따져 최소 30만 원부터 최고 1백만 원 정도의 '위로금'을 주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해왔다고 보도했습니다.

    KT 관계자에 따르면, 이는 자영업자들의 영업이익이 매출의 10~15%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해 하루 피해액을 13만 원에서 15만 원 정도로 계산해 산정한 금액이라고 합니다.

    애초 이런 내용의 위로금 지급 계획을 어제 오늘 정도에 발표하고, 늦어도 오는 20일까지 지급을 끝낼 예정이었다는데요.

    하지만 피해 소상공인들이 거세게 반발하며 "관계자와 전문가들로 협의체를 구성해 피해배상 방식과 수위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일정을 접고, '협의체'를 구성해서 추가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합니다.

    ◀ 앵커 ▶

    한국일보는 행복주택 가운데 상당수가 빈집으로 방치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7월 말 LH의 행복주택 가운데 6개월 이상 빈 가구가 11%에 달했다고 합니다.

    지난해 10월 입주를 시작한 경기도 내 한 행복주택의 경우, 월 임대료가 주변 시세의 절반 수준이지만 아직 입주 가구가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는데요.

    전철역이나 중심 상업지 등 생활편의시설과 멀리 떨어진 곳에 지어져 입주 대상자로부터 외면받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는데, 빈집으로 인한 임대료 손실금만 한 해 8억 2천만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 앵커 ▶

    새해 들어 초고속인터넷과 IPTV 시장이 과다 경품 지급으로 혼탁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IPTV 사업에서 좋은 실적을 거둔 통신사들이 '인터넷 TV와 초고속인터넷 업체를 바꾸면 수십만 원의 경품을 주겠다'면서 너도나도 과당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라는데요.

    문제는, 이런 혜택이 모든 고객에게 골고루 돌아가지 않고 통신사를 적극 교체하는 일부 고객에게만 혜택이 몰린다는 겁니다.

    때문에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2017년, 초고속인터넷 15만 원, 유료방송 4만 원, 인터넷전화 2만 원 등 경품 상한선을 정했는데요.

    LG유플러스와 법적 분쟁으로 아직 시행하지 못하고 있지만 오는 16일 2심에서 승소할 경우, 상한 규제를 곧바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아침신문 살펴봤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