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장준성

'직접 원인' 못 찾고…책임 소재도 못 가려

'직접 원인' 못 찾고…책임 소재도 못 가려
입력 2019-06-12 06:19 | 수정 2019-06-12 06:23
재생목록
    ◀ 앵커 ▶

    에너지저장시스템, ESS의 잇따른 화재를 조사해온 정부가 어제, 조사결과를 내놓았는데요.

    배터리 보호장치의 설치, 관리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화재를 일으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장준성 기자입니다.

    ◀ 리포트 ▶

    2017년 8월부터 시작돼 전국에서 23번이나 이어진 에너지저장장치 ESS 연쇄 화재, 신재생에너지로 만든 전력을 저장할 수 있어 급격히 보급되던 미래산업의 핵심을 가동중단상태로 빠뜨렸습니다.

    민관조사위는 5개월간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76가지 상황에 대해 '실험'조사를 거쳐 4가지 화재원인을 제시했습니다.

    먼저 배터리에 외부전기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배터리 보호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것, 또 전력변환장치와 배터리관리시스템S 등 ESS의 안전을 지킬 장치를 통합해 제어하는 체계가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산지나 해안가에 설치된 ESS의 경우 습기나 먼지를 막지 못했고 배터리 사이의 간격 등을 고려하지 않는 등 관리와 설치과정에서의 부실도 화재 가능성을 높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최윤석/민관합동조사위 대변인]
    "쌀이 곧 밥이 되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배터리 셀) 결함이 곧 내부 단락 일으키는 건 독자적으로는 하는 건 아니고요. 여러 가지 운영 조건과 결합해 내부 단락으로 전개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정부는 삼성SDI나 LG화학 같은 베터리 제조업체에 책임을 묻는 대신 제조 공정부터 설치, 운영에 이르기까지 엄밀한 안전 기준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맞추기로 했습니다.

    현재 가동 중단된 ESS 시설, 적절한 기준을 충족하면 재가동을 허가하기로 했습니다.

    업계는 재가동으로 국내시장이 살면 내년에만 18조원에 달할 세계 ESS시장 수출도 활성화된다며 다행이라는 반응입니다.

    그러나 재설치 과정에서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또 화재원인이 복합적인 만큼 배상책임을 놓고 제조사와 설비업체들 간의 책임공방이 이어질 불씨는 남겨두게 됐습니다.

    MBC뉴스 장준성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