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조수영

여기 여인숙 있었나…소방안전 관리 '구멍'

여기 여인숙 있었나…소방안전 관리 '구멍'
입력 2019-08-20 07:35 | 수정 2019-08-20 07:36
재생목록
    ◀ 앵커 ▶

    전주 여인숙 화재로 숨진 노인들은 폐지를 주워가며 힘들게 살아가는 극빈층이었습니다.

    지은지 50년 가까이 된 여인숙은 화재 점검도 받지 않은 안전 사각지대였습니다.

    조수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여인숙의 방 크기는 6제곱미터, 한평 남짓으로, 창이 없는 곳도 있는 그야말로 쪽방이었습니다.

    하루 숙박비는 7천원…

    한달치를 한꺼번에 계산하는 이른바 달방은 12만원이었는데, 숨진 노인들은 이 달방을 이용하는 장기 투숙객이었습니다.

    [인근 주민]
    "좋은 아저씨예요. 불쌍하게 사셨는데, 그렇게 돌아가시니까 마음이 편치 않은데…"

    희생자 3명 가운데 76살 태모 할아버지는 3,4년 전부터 여인숙에 머물며 폐지를 주워 생활했고, 82살 김모 할머니는, 이 곳에 살며 여인숙 관리를 맡아왔습니다.

    일정한 거처 없이 떠돌이 생활을 해온 1명은 신원조차 파악되지 않았습니다.

    [전주 완산경찰서 관계자]
    "2명은 (신원이) 확인됐는데 1명은 확인 중에 있어요. 지문을 떠가지고 지금 본청에서 (조회) 돌리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이들 중 1명은 기초생활수급비를 받았지만, 다른 2명은 타지에서 온 터라 주민등록조차 없었고, 그래서 어떠한 사회보장 혜택도 받지 못했습니다.

    [김윤철/전주시의원(화재현장 지역구)]
    "관리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죠. 주민등록도 안 돼있죠. 그다음에 낮에는 돌아다니다가 저녁에는 잠만 자고 나가죠. 그러니 어떻게 손이 미칠 수가 없죠."

    여인숙이 지어진 건 1972년.

    하지만 이름만 숙박시설일 뿐, 소방당국에 등록돼 있지 않아 그동안 화재점검 대상조차 아니었습니다.

    여인숙에는 소화기와 경보형 감지기가 설치돼 있었지만, 무용지물이었습니다.

    [전주 완산소방서 관계자]
    "주택으로 등록돼 있던 것으로 알고 있어요. 일반 큰 건물은 다 (점검)하거든요. 대한민국에 있는 모든 건물을 다 할 수 없으니까, 인원에 한정이 있으니까…"

    도심 속 외딴방에서 사실상 사회와 격리된 채 생을 마감한 노인들에게 화재 예방 시스템도, 사회 안전망도, 전혀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