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세균 국무총리는 오늘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올해 우리가 100조원의 국채를 발행한다"며 "지금은 재난지원금을 이야기할 때지 기본소득을 말할 타이밍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정 총리는 "아무리 좋은 것도 때가 맞아야 한다.
어떻게 재원을 마련할 거냐, 돈이 있어야 지원할 것 아니냐"면서 "기본소득 문제에 대해선 결국 국민적인 동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정 총리는 진행자가 '이런 이야기 할 때가 아니다?'라고 묻자 "쓸데없는 데다가 우리가 왜 전력을 낭비하냐"며 "지금은 민생을 챙기고 경제를 회복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이 지사의 경쟁자인 민주당 이낙연 대표도 오늘 자신의 신복지제도 구상을 구체화할 '국민생활기준 2030 범국민특위' 구성을 공식화하면서 "신복지제도는 문재인 정부 들어 민주당이 내놓은 최고의 국가비전"이라고 자평하기도 했습니다.

김 지사는 <시사인> 인터뷰에서 "이 지사가 기승전 기본소득만 계속 주장하면 정책 논의가 왜곡될 우려가 있다"며 "포퓰리즘 공약을 쏟아붓는 것으로는 대선을 치르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김 지사는 "기본소득이 시급한 과제로 선택받지 않을 거라는 확신이 있다"며 "현실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힘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단언하기도 했습니다.
기본소득 정책 비판에 이낙연 대표와 정세균 국무총리,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에 이어 김 지사까지 가세한 건데, 이른바 '범친문' 계열의 대표 주자부터 잠재 주자까지 모두 합세한 형국으로도 보입니다.
김 지사는 다만 "정책 논쟁을 친문-반문 잣대로만 보는 것은 정치를 외면받게 만드는 해악"이라고 강조하면서, "이 지사도 민주당과 함께 다음 정부를 담당하겠다면 토론의 여지를 열어둬야 할 거"라고 말했습니다.

이 지사는 "정치에 대한 국민의 나쁜 인식을 바꾸려면 '논쟁' 중심에서 '실행' 중심으로 이동해야 하고, 정파적 경쟁을 넘어 국리민복을 위한 경쟁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지금의 기본소득 논쟁이 좋은 사례"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저는 제 주장만을 고집하지 않고, 한분 한분의 소중한 의견을 접하며 제 생각도 다듬어지고 있어 감사한 마음"이라며 "기본소득은 그 자체보다 그 정책이 품고 있는 비전과 방향이 더 중요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치적으로는 물론 정책적으로도 반전 흐름을 일구려면 이 지사의 대표 브랜드에 도전하지 않을 수 없는 경쟁 주자들과, 아직까지는 '기본소득 대선'으로 치러지는 것이 나쁠 것 없다는 이 지사 측의 여유가 읽히는 대목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