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수첩] 국정원이 日 우익에 넘긴 정보, '한국 시민단체 탄압'에도 쓰였다](http://image.imnews.imbc.com/news/2021/society/article/__icsFiles/afieldfile/2021/08/11/R20210810_PD1_1.jpg)
![[PD수첩] 국정원이 日 우익에 넘긴 정보, '한국 시민단체 탄압'에도 쓰였다](http://image.imnews.imbc.com/news/2021/society/article/__icsFiles/afieldfile/2021/08/11/R20210810_PD2_1.jpg)
日 극우단체가 한국 시민단체 차량을 일장기로 뒤덮기도 했다 (출처: niconico)
![[PD수첩] 국정원이 日 우익에 넘긴 정보, '한국 시민단체 탄압'에도 쓰였다](http://image.imnews.imbc.com/news/2021/society/article/__icsFiles/afieldfile/2021/08/11/R20210810_PD3_1.jpg)
아베 전 총리와 국가기본문제연구소 이사장 사쿠라이 요시코
PD수첩 제보자에 따르면, 일본의 국가기본문제연구소, ‘국기련’ 역시 국정원의 지원 하에 성장한 단체였다. 제보자는 “(국기련 측이) 언론 활동을 해야 하는데, 그 소재 등은 국정원에서 많이 제공했다”고 밝혔다. 일본인 납북자 문제가 불거졌을 당시에도 이 단체에 대한 국정원의 지원이 컸다는 게 제보자의 주장이다. 일본 내 선거 판세가 움직일 만한 내용을, 브리핑까지 해주며 제공했다는 것이다. “북한과 관련된 군, 경찰, 국가조직이 입수한 모든 정보를 엑기스처럼 뽑고, 브리핑을 해주는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기련이 일본 우익사회에서 크게 성장했다고 제보자는 주장했다. 이 단체의 이사장인 사쿠라이 요시코, 아베 전 총리의 측근인 그는 국기련이 성장하면서 ‘극우의 마돈나’가 됐다.
![[PD수첩] 국정원이 日 우익에 넘긴 정보, '한국 시민단체 탄압'에도 쓰였다](http://image.imnews.imbc.com/news/2021/society/article/__icsFiles/afieldfile/2021/08/11/R20210810_PD4_1.jpg)
日 극우단체의 위안부 피해자 반대 시위 (영화 ‘어폴로지’ 중)
이러한 두 집단의 지향점에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역시 영향을 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2015년 양국 간 합의 이전에도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 대한 일본 우익의 탄압이 있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 의원은 2010년 경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 우익 단체들이 나서서 “위안부는 매춘부다, 위안부는 가짜”라고 외치기도 했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가는 곳마다 (일본 우익단체가) 있었다”고도 했다.
![[PD수첩] 국정원이 日 우익에 넘긴 정보, '한국 시민단체 탄압'에도 쓰였다](http://image.imnews.imbc.com/news/2021/society/article/__icsFiles/afieldfile/2021/08/11/R20210810_PD5_1.jpg)
제보자가 3일 동안 감사를 받았던 국정원 ‘하얀 방’ 재연
‘날조 기사’ 사건이 불거질 즈음 한일 양국은 ‘한일 위안부 합의’ 관련 논의를 시작했고, 이듬해인 2015년 12월 양국은 합의안을 발표했다. PD수첩 제보자에 따르면, 이 합의에도 국정원의 움직임이 있었다. 제보자는 “위안부 합의 문제를 국정원 내부에서 논의하기 시작했다”며, 국정원 내에서 관련 TF를 만들기도 했다고 밝혔다.
국정원 직원들을 대상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강의를 했었던 호사카 유지 교수. 그는 “(당시) 국정원 내부에서 일본 극우 쪽의 주장이 나왔다”고 밝혔다. “우리는 (2015년 합의에) 상당히 많이 관여한 사람”이라며, 호사카 유지 교수의 강의 내용 자체를 반박했다는 것.
일본 현지에서 위안부 관련 문제, 독도 연구 모임 등을 주관했던 제보자. 그는 국정원 TF가 꾸려지고, 내부에서 ‘위안부 합의’ 관련 논의가 오가는 사이 업무에서 배제됐다고 했다. 그러던 제보자는 2015년, 합의를 몇 달 남겨둔 시점에 근무지였던 오사카에서 귀국했다. 그 직후 일명 ‘하얀 방 고문’을 당했다. 지난 6월 방송된 PD수첩 ‘국정원과 하얀 방 고문’은 바로 그의 얘기다. 3일 동안의 감사로 해리 장애를 얻은 그는 2018년 면직 처분을 받았다. PD수첩은 국기련 관계자들을 초청해 각종 정보를 제공했다는 당시 국정원 간부, 국기련 관계자, 국정원의 금전 지원까지 받았다는 국기련 내 한국인 연구원 등을 찾아갔으나, 이들은 모두 답을 피했다. 국정원과 일본 극우단체의 ‘부당거래’가 이어지는 사이 피해를 입은 건 한국인들이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