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 이후 미얀마 군 탈영병 800명 넘어"
쿠데타 이후 군부의 유혈 진압에 반발해 도망친 군인들이 800명을 넘었고, 이 중 상당수는 군부를 상대로 한 무장투쟁에 가담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미얀마 동부 샨주의 보병 대대에서 복무하다 탈영한 린 텟 아웅 대위는 현지 매체 미얀마 나우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현재 다른 군인들의 탈영을 돕고 있는 그는 탈영병의 4분의 3은 군사정권에 맞서 무장투쟁하는 시민방위군에 참여할 준비가 돼 있고, 나머지는 투쟁은 돕겠지만 싸우고 싶어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탈영 군인 중 100여 명은 장교들, 접경지역에서 시민들 군사 훈련 시켜"
또 800명 중 100명가량은 소령과 대위, 중위 등 장교 출신들로, 일부는 소수민족 무장조직이 통제 중인 접경 지역으로 이동해 미얀마 시민들에게 속성으로 전투 방법을 가르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탈영병 대부분은 해군과 공군 출신인데, 시위진압 작전의 최전선에 나서는 보병 출신들은 가족에 대한 보복 우려 탓에 탈영이 쉽지 않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미국 "미얀마 상황 갈수록 악화…모든 시나리오 검토"
미국 정부가 미얀마 쿠데타 사태와 관련해 "상황이 계속 나빠지고 있다"며 미얀마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행정부 내 아시아 전문가로 꼽히는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인도태평양조정관은 현지시간 7일 싱크탱크 신미국안보센터가 주최한 온라인 행사에서 "미얀마에서 폭력이 악화하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캠벨 조정관은 특히 미얀마의 국가 붕괴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상황이 우려스럽다. 그리고 그 상황이 더 악화하고 있다. 우리는 모든 시나리오를 들여다보고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미안먀에서는 지난 2월 1일 군부 쿠데타가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800명이 넘는 시민이 저항 시위에 나섰다가 군부의 공격을 받고 숨졌지만, 국제사회의 방관 속에 넉 달이 넘도록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국민통합정부 중국 향해 "우리와도 대화해 달라"
이런 가운데 미얀마 쿠데타 군사정권에 맞서는 국민통합정부가 중국 정부를 향해 자신들과 대화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국민통합정부는 그제 왕이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앞으로 공개서한을 보내, 중국과 아세안이 미얀마 쿠데타 사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국민통합정부와 충분한 관계를 맺지 않아 매우 우려스럽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서한은 최근 아세안 대표단이 미얀마를 방문해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 등 군부 인사들만 만나고 국민통합정부 측 인사들은 만나지 않은 이후 나왔습니다.
또 국민통합정부는 서한에서 "중국 정부는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만든 군정 최고기구 '국가행정평의회'는 미얀마 국민을 대표하지 않고, 이 기구를 미얀마 정부로 정당화하려는 건 양국 국민 간의 관계를 훼손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미얀마 쿠데타를 두고 중국은 "내정"이라는 이유로 러시아와 함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미얀마 군부 제재 방침에 계속 반대해 미얀마 내에서는 반중 감정이 높은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국민통합정부가 중국에게 대화를 촉구하는 건 현실적으로 흘라잉 사령관 등 미얀마 군부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국가는 중국이 사실상 유일하다는 판단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국민통합정부가 "로힝야족에 시민권" 추진하자, 토착세력 반발
이런 와중에 국민통합정부가 지난 1982년 제정된 법령을 개정해 서부 라카인주 로힝야족에 시민권을 부여하겠다고 밝혔다가 토착세력의 강한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현지 시민단체, 지역 유력인사, 정치인들이 참여한 조직인 아라칸연대위원회와 무장조직인 아라칸해방당이 "갓 생겨난 정부가 라카인주 무장단체들과 이해 관계자들의 의사를 물어보지 않고 결정을 내려서는 안 된다"며 비난한 겁니다.
라카인주에는 10여 개의 토착민족이 있으며 이 중 아라칸족이 주류를 이룹니다.
토착민족 "국민통합정부가 국제사회 인정받으려고 정치적 목적으로 추진"
이들은 국민통합정부가 국제사회로부터 인정을 받고 지원을 얻어내려는 정치적 동기에서 이번 제안을 내놨다고 주장했습니다.
라카인주에서는 로힝야족을 토착세력으로 인정하게 되면 향후 이슬람계가 득세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지난 2017년 서부 라카인주에서는 종교적 탄압 등에 반발한 로힝야족이 경찰 초소를 공격한 이후 정부군의 대대적인 토벌작전이 벌어져 수천 명이 살해되고 74만 명의 난민이 방글라데시로 피신했습니다.
이후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은 2019년 말 국제사법재판소에 나와 반군의 공격에 대응한 것이라면서 학살 책임을 부인해 국제사회로부터 비난을 샀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