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세계
기자이미지 김정원

[World Now] 남은 돈줄은 아편‥양귀비 재배 나선 아프간인들

[World Now] 남은 돈줄은 아편‥양귀비 재배 나선 아프간인들
입력 2021-11-22 18:14 | 수정 2021-11-23 11:19
재생목록
    [World Now] 남은 돈줄은 아편‥양귀비 재배 나선 아프간인들

    아프간 남부 헬만드주 양귀비 재배

    [아프간, 경제난 속 앞다퉈 양귀비 재배]

    세계 아편 생산의 8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아프가니스탄의 마약 관련 산업이 탈레반 정권 출범 후 더욱 활기를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제 사회의 시선을 의식한 탈레반이 재집권 후 마약 생산을 금지하겠다고 밝혔지만, 가뭄과 경제난을 이기지 못한 농민들은 앞다퉈 양귀비 재배에 나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양귀비는 아편과 헤로인 등 마약의 원료로 쓰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은 21일 이런 아프간의 최근 상황을 집중 보도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남부 칸다하르주의 농부들을 인용해 밀과 옥수수 등을 길렀던 땅에서 양귀비가 대신 경작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여든 평생 석류를 재배해온 칸다하르주 아르간다브 지역의 한 농민도 올해는 더 버티지 못하고 양귀비 생산에 눈을 돌리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에 따르면 지난해 아프간의 양귀비 재배 면적은 22만 4천 헥타르로 전년보다 37% 증가했습니다.

    올해는 이런 추세가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석류 구매업자인 하미둘라는 뉴욕타임스에 "이런 상황이 지속한다면 앞으로 몇 년 뒤에는 (석류) 나무가 남아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World Now] 남은 돈줄은 아편‥양귀비 재배 나선 아프간인들

    아프간 남부 헬만드주 양귀비 재배 [자료사진]

    [농민들 "양귀비 재배 안 하면 더 가난해질 것"]

    농민들은 양귀비 재배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하소연합니다.

    살리 모하마드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양귀비를 재배하지 않으면 더 가난해질 것"이라며 "다른 작물들의 경우 (내다 팔) 시장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양귀비 재배가 급증하는 데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우선 지난 8월 탈레반 집권 후 파키스탄과 이란 등과의 국경 무역에 차질이 생기면서 농작물 수출 길이 크게 좁아졌습니다.

    여기에 아프간 전역에 가뭄이 이어지면서 농작물 재배 환경이 매우 나빠졌습니다.

    하지만 양귀비는 재배 과정에서 물이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심은 후 5개월만 지나면 수확이 가능합니다.

    [양귀비, 아편으로 가공되면 수년간 보관 가능]

    일단 아편으로 가공되면 별도 냉장 시설이 없더라도 수년간 보관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아편은 밀수업자가 유통하기 때문에 국경 폐쇄도 장애가 되지 않습니다.

    탈레반의 미묘한 처지도 양귀비 재배 억제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탈레반은 지난 1차 통치기(1996∼2001년) 때인 2000년 양귀비 재배를 금지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조처로 양귀비 생산량이 90%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2001년 미군에 의해 정권을 잃은 후에는 점령지 농민들로부터 양귀비 판매액의 일부를 '세금'으로 거둬들이고 마약을 거래하며 재원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World Now] 남은 돈줄은 아편‥양귀비 재배 나선 아프간인들

    아프간 남부 헬만드주 양귀비 재배 [자료사진]

    [탈레반, '양귀비 판매세'로 172억 원‥마약 거래하며 재원 확보]

    UNODC에 따르면 '양귀비 판매세' 총액은 2019년 기준 1천450만 달러(약 172억 원)로 추산됐습니다.

    탈레반은 올해 재집권 직후에는 양귀비 재배를 금지하겠다고 밝혔지만, 최근에는 엄격하게 단속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해외 자금 동결, 국제사회 원조 중단 후 온 국민이 심각한 경제난에 시달린다는 점을 잘 알기 때문입니다.

    칸다하르주 판지와이 지구장(군수)인 물라 세이프 알라만 아쿤드는 "우리가 어떻게 그들에게 (양귀비) 경작을 중단하라고 말할 수 있겠느냐"며 "누가 그들을 돌봐 줄 수 있느냐"고 말했습니다.

    그는 "만약 국제사회가 우리 정부를 인정하고 원조와 개발 지원을 해 준다면 양귀비 경작은 분명히 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자비훌라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은 최근 아예 양귀비 재배를 막을 계획이 없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는 지난 16일 "우리 국민은 경제적 위기를 겪고 있는데 그들의 유일한 수입 수단을 막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