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정치
기자이미지 양효경

[외통방통] 북한의 '화성-17형'은 '괴물 ICBM'?‥미국 본토 타격 가능

[외통방통] 북한의 '화성-17형'은 '괴물 ICBM'?‥미국 본토 타격 가능
입력 2022-03-11 11:19 | 수정 2022-03-11 11:49
재생목록
    [외통방통] 북한의 '화성-17형'은 '괴물 ICBM'?‥미국 본토 타격 가능

    화성-17형 신형 ICBM [자료사진]

    북한의 새 ICBM '화성-17형'‥다탄두 형상 '괴물 ICBM'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이 최근 두 차례 시험 발사한 탄도미사일을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으로 평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에 다탄두 형상인 '화성-17형'의 엔진 및 단(3단 구성) 분리 등의 성능을 시험했을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북한이 지난달 27일과 지난 5일 두 차례 시험 발사한 이 ICBM은 2020년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기존 ICBM인 '화성-15형'보다 직경과 길이가 커지고 다탄두(MIRV) 형상을 지녀 '괴물 ICBM'으로 불렸습니다.

    처음 등장한 직후 국내에서 '화성-16형'이란 이름으로 불리다가 작년 2021년 10월 북한 국방발전전람회를 통해 공식 명칭이 '화성-17형'으로 확인됐습니다.
    [외통방통] 북한의 '화성-17형'은 '괴물 ICBM'?‥미국 본토 타격 가능

    화성-17형 신형 ICBM [자료사진]

    세계에서 가장 크다‥3단 엔진 "추진력 커져"

    2020년 열병식에서 모습을 드러냈을 때 ICBM의 이동식발사차량(TEL)의 바퀴가 11축 22륜으로 식별됐습니다.

    이는 2017년 11월 발사한 ICBM '화성-15형'의 TEL(9축 18륜)보다 커진 것입니다.

    신형 ICBM의 길이는 '화성-15형'(21m)보다 다소 늘어난 22∼24m가량으로 추정되는데, ICBM 길이로는 세계에서 가장 긴 것입니다.

    미국 '미니트맨-3'은 길이 18.2m, 중국 신형 'DF(둥펑)-41'은 21m, 러시아 신형 '토폴-M'은 22.7m입니다.

    '화성-17'의 직경도 다른 ICBM보다 굵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화성-17형의 직경이 커진 것은 1단과 2단 추진 엔진에 큰 변화를 줬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1단 액체 엔진 수가 늘어나고 2단 액체 엔진이 신형으로 바퀴면서 밀어 올리는 힘이 커지도록 연료와 산화제가 더 많이 주입되므로 직경이 커진다는 것이 북한 미사일 권위자인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의 분석입니다.

    즉 1단에는 백두산 트윈 엔진 2세트를 클러스터링해 제작한 것으로 추력은 160~170tf(톤포스:160~170t 중량을 밀어올리는 추력)에 이릅니다.

    2단은 트윈 엔진 1세트(추력 80~85tf)를, 3단에는 고체엔진 모터가 장착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입니다.
    [외통방통] 북한의 '화성-17형'은 '괴물 ICBM'?‥미국 본토 타격 가능

    자료사진

    사거리 1만3천km 이상‥미국 본토 타격권

    신형 ICBM의 최대사거리는 기존 ICBM인 '화성-15'가 1만3천㎞가량인 것을 고려하면 1만3천㎞ 이상으로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습니다.

    탄두부 형상이 핵탄두 2∼3개가 들어가는 '다탄두 미사일' 형태로 진화한 것도 중요한 특징입니다.

    신형 ICBM의 탄두부 형태는 둥글고 뭉툭한 화성-15형과 달리 미국 ICBM '미니트맨-3'과 닮았습니다.

    이 탄두부에 후추진체로 불리는 PBV(Post Boost Vehicle)가 식별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CBM은 발사 후 우주 공간에서 마지막으로 탄두가 들어 있는 PBV를 분리하는데, 이때 PBV에 달린 로켓이 점화되어 탄두를 원하는 목표지점 상공까지 운반합니다.

    PBV 중앙부에는 모터가 들어 있고 그 주위에 여러 개의 탄두가 있는 형태입니다.

    북한이 PBV 기술을 확보했는지는 현재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두 차례 시험발사‥대기권 재진입 기술 시험?

    군과 전문가들은 북한이 ICBM의 핵심인 탄두의 대기권 재진입 기술은 아직 완전히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해 왔습니다.

    대기권 재진입 기술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실거리 사격'이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이번에 북한은 두 차례의 시험발사를 통해 재진입 기술도 일부 시험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당초 군은 지난달 27일과 이달 5일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의 고도와 사거리 등의 제원을 바탕으로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로 평가해왔습니다.

    그러다가 다양한 출처에서 추가로 확보한 정보들을 수집해 한미당국이 정밀분석한 결과 북한이 신형 ICBM인 '화성-17형'의 동체를 이용해 발사 궤적을 조정해 시험발사를 진행한 것으로 판단을 확정했다는 군 당국의 설명입니다.

    국방부는 "최근 2차례의 시험발사가 ICBM의 사거리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향후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가장한 해당 미사일의 최대사거리 시험 발사를 앞두고 관련 성능을 시험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외통방통] 북한의 '화성-17형'은 '괴물 ICBM'?‥미국 본토 타격 가능

    서해위성발사장 현지시찰한 김정은

    "조만간 '화성-17형' 최대사거리 시험 나설 것"

    북한이 조만간 이동식발사차량(TEL)을 이용해 화성-17형의 최대사거리 시험에 나설 것으로 한미는 공동평가합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쏜다면 기존에 동창리에서 항상 쏴왔기 때문에 그렇게 할 것으로 보이고, 만약 ICBM을 시험 발사한다면 TEL에서도 쏠 수 있다. 둘 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근 시찰하며 개축을 지시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은 ICBM과 장거리 로켓 개발의 '성지'로 꼽히는 곳으로, 북한은 ICBM의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현장실험을 대부분 이곳에서 진행해왔습니다.

    북한이 이번에 동창리가 아닌 평양 순안에서 화성-17형을 두 차례 발사한 것에 대해 군 관계자는 발사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지역으로 북한이 본 것 같다면서도 "추가로 분석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최근 두 차례 시험발사에서 고체엔진 실험도 했을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고체 연료 중거리탄도미사일(MRBM)인 '북극성-2형'을 2017년 두 차례 시험 발사한 데 이어, 작년 초 당대회에서는 '5대 과업' 중 하나로 고체로켓 모터를 장착한 신형 ICBM 개발을 공언한 바 있습니다.

    고체연료 미사일은 연료를 사전에 저장해 놓을 수 있어 발사 준비 기간이 짧고 신속한 타격이 가능합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