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세계
기자이미지 박소희

[World Now] "日, 사도광산 세계유산 보류 방향‥한국 반발에 어렵다 판단"

[World Now] "日, 사도광산 세계유산 보류 방향‥한국 반발에 어렵다 판단"
입력 2022-01-20 10:52 | 수정 2022-01-20 10:53
재생목록
    [World Now] "日, 사도광산 세계유산 보류 방향‥한국 반발에 어렵다 판단"

    [사진 제공: 연합뉴스]

    [일본 정부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추천 보류?]

    일본 정부는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는 구상을 보류하는 방향으로 조율 중이라고 요미우리 신문이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 설명을 근거로 20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사도 광산을 세계 유산으로 추천하더라도 한국의 반발 등으로 인해 내년에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록될 전망이 없다고 판단해 2024년 이후 세계 유산 등재를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심사 탈락 후보가 재등록된 사례는 없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심사에서 탈락시킨 후보가 나중에 세계유산에 등록된 사례는 없습니다.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벌인 만행인 난징 대학살 관련 자료를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일본 정부가 앞서 심사 제도 변경을 주도한 것이 이번에 일본 정부에 불리하게 작용한 측면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대국가 있으면 심사 중단하고 대화' 조항에 불리해져]

    유네스코는 세계기록유산 등재 때 반대 국가가 있으면 심사를 중단하고 대화를 하도록 작년에 제도를 개편했습니다.

    일본이 반대하면 난징대학살 관련 자료를 세계기록유산에 사실상 등재할 수 없도록 하는 조치였습니다.

    사도 광산의 경우 세계기록유산이 아니라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기 때문에 부문이 다르기는 하지만 한국이 반대하는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에 등재하자고 일본이 주장하면 `이중 잣대`라는 비판을 받을 것이 예상됩니다.

    이와 관련해 외무성 내부에서는 "이번에는 일본이 뒤바뀐 입장이 됐으며, 한국의 반발이 있는 가운데 사도광산을 추천하면 국제사회의 신용을 잃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습니다.

    민영방송사 네트워크인 JNN 역시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의 추천을 보류하는 방향으로 최종 조율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매체는 일본 정부가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준비 작업이 부족하다고 판단했으며 장래 등재 실현을 위해 전략을 다시 짜려고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World Now] "日, 사도광산 세계유산 보류 방향‥한국 반발에 어렵다 판단"

    [사진 제공: 연합뉴스]

    [극우인사 "한국 반발로 추천 포기 있을 수 없는 일"]

    하지만 올해 여름 참의원 선거를 앞둔 가운데 집권 자민당에서는 한국의 반발 때문에 추천을 포기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강경론이 대두하고 있어 일본 정부의 최종 결정이 주목됩니다.

    민영방송 TBS 등에 따르면 극우 사관 추종자로 분류되는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은 사도 광산이 "일본의 명예에 관한 문제"라며 "정부는 세계유산 등록을 위해 진심으로 힘을 내면 좋겠다"고 전날 기자회견에서 말했습니다.

    자민당 국회의원들로 구성된 `보수단결의 모임`은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추천하라고 일본 정부에 촉구하는 결의를 18일 채택하기도 했습니다.

    일본 문화심의회는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에 추천할 일본 후보로 선정한다고 지난달 일본 정부에 통지했으나 일본 문화청은 "정부 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며 이례적으로 여지를 남겼습니다.

    [우리 외교부 "매우 개탄스러워"]

    당시 한국 외교부는 일본이 하시마(군함도)를 세계유산에 등재할 때 조선인 강제 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해놓고 이행하지 않은 것을 지적하며 "매우 개탄스러우며 이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논평한 바 있습니다.

    [사도광산 조선인 2천 여명 강제 동원 현장]

    일본 니가타현의 사도섬에 있는 사도 광산은 에도 시대(1603∼1868년)에 금광으로 유명했으나 태평양 전쟁이 본격화한 후에는 구리·철·아연 등 전쟁 물자를 캐는 광산으로 주로 활용됐습니다.

    일제는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사도 광산에 조선인을 대거 동원했습니다.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발간 자료에 따르면 "최대 1천200여 명의 조선인을 강제 동원"했으나 실태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으며 히로세 데이조 일본 후쿠오카대 명예교수의 분석에 의하면 "적어도 2천명 정도"가 동원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