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세계
기자이미지 박소희

[World Now] '저항 약한 곳 노렸나' 러, 지방·소도시에 동원소집 편중

[World Now] '저항 약한 곳 노렸나' 러, 지방·소도시에 동원소집 편중
입력 2022-09-24 14:51 | 수정 2022-09-24 14:52
재생목록
    [World Now] '저항 약한 곳 노렸나' 러, 지방·소도시에 동원소집 편중

    자료 제공: 연합뉴스

    부분 군 동원령이 선포된 러시아에서 전쟁터로 불려 가는 동원소집 대상자의 비율이 도시보다 지방·소도시에서 훨씬 높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동원소집 지역 편중 심각
    23일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북동부 시베리아 지역 러시아 연방 소속 사하 자치공화국 출신의 사르다나 아브크센티에바 의원은 소셜미디어에서 "마을 주민이 300명인데 남성 47명이 소집됐다. 이런 숫자가 나온 근거가 무엇인가"라고 동원소집의 지역 편중성을 지적했습니다.

    사하공화국의 사하족 단체는 푸틴 대통령에게 보낸 공개 서한에서 이번 동원령으로 이미 인구가 희박한 야쿠티아 북부 지역에서 남성이 더 적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목축업자, 사낭꾼, 어부 등 소수 민족 대다수 징집
    또 시베리아 동부의 소수민족 `유카기르족` 지도자는 뉴욕타임스에 "순록 목축업자, 사냥꾼, 어부 등 사람이 많지도 않은데 대다수가 징집됐다"고 어려움을 토로했습니다.

    그는 유카기르족 7명이 이미 소집 통지를 받았으며 외부에서 생활하던 사냥꾼들이 집으로 돌아와 통지문을 확인하면 그 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한숨을 쉬었습니다.

    유카기르족 인구는 약 1천600명인데 경제활동이 활발한 18∼45세 연령대의 남성은 400명뿐이라고 합니다.
    [World Now] '저항 약한 곳 노렸나' 러, 지방·소도시에 동원소집 편중

    자료 제공: 연합뉴스

    "2차대전 때도 동원안해" 소수민족, 푸틴에 공개서한
    인구가 줄어드는 소수민족에 동원 소집 부담이 커지자 일부 지역 소수민족들은 동원소집 연기를 주장하는 공개서한을 푸틴 대통령에게 보내기도 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습니다.

    2차대전 때도 당시 소련군이 인구가 적은 소수민족 남성은 동원하지 않았다는 논리입니다.

    러시아 내부에서 동원소집 편중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는 전쟁에 대한 찬반이나 푸틴에 대한 지지 여부 등 입장을 가리지 않고 나오는 분위기입니다.

    전쟁 찬성파도 징집 방법에 반대
    텔레비전 뉴스쇼를 진행하며 전쟁 찬성론을 설파해온 안드레이 메드베데프 의원은 최근 텔레그램에서 "동원소집을 진행하려면 군의 위력을 강화하는 것이 기본이어야지, 혼돈만 초래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전쟁 찬성론 관련 글을 주로 올리던 인기 블로그 `리바르`는 "건강 문제가 있거나 전투 경험이 없는데도 동원 소집 통지를 받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엄청나게 접수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중앙유럽대학에서 러시아의 민군 관계를 연구해온 키릴 샤미에프 교수는 "크렘린궁은 늘 하던 대로 하고 있다. 정책의 첫 번째 조건은 푸틴의 집권 연장이다. 바로 그 때문에 일부 농어촌·소도시에서 징집 비율이 크게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World Now] '저항 약한 곳 노렸나' 러, 지방·소도시에 동원소집 편중

    자료 제공: 연합뉴스

    "외곽 저항가능성 낮을 것으로 보여 징집 집중"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저항할 가능성이 더 낮을 것으로 보기 때문에 중심부보다 외곽에서 동원소집 대상자를 늘렸다는 분석입니다.

    실제로 푸틴 대통령은 전쟁 초기부터 이어진 압력에도 강력한 저항을 우려해 동원령 선포를 미뤄온 것으로 서방은 보고 있습니다.

    동원령이 선포된 후에는 러시아 전역에서 시위가 일어나 연행된 사람이 1천 명을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인터넷 접근성이 좋지 않은 외곽 지역에는 러시아 국영TV가 거의 유일한 정보원이었습니다.

    이 때문인지 푸틴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도 높았습니다.

    그러나 동원소집 이후 그 추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사하공화국의 한 활동가는 뉴욕타임스에 "TV에서는 조국을 지켜야 한다고 하는데, 지금 위험에 빠진 건 조국이 아니라 우리 목숨인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