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경제
기자이미지 신지영

방통위, 가짜뉴스 대응방안 연구 착수‥OECD사례부터 살핀다

방통위, 가짜뉴스 대응방안 연구 착수‥OECD사례부터 살핀다
입력 2023-09-14 09:45 | 수정 2023-09-14 09:45
재생목록
    방통위, 가짜뉴스 대응방안 연구 착수‥OECD사례부터 살핀다

    이동관 방통위원장 [자료사진 제공 : 연합뉴스]

    방송통신위원회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례를 참고해 가짜뉴스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섭니다.

    방통위에 따르면 방통위 디지털유해정보대응과는 `가짜뉴스 실태와 대응 방안-OECD 주요 국가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연구를 위한 수행기관을 공모 중입니다.

    이는 이동관 방통위원장이 지난달 취임 후 연일 가짜뉴스 척결을 강조해온 데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이 위원장은 지난달 취임식에서 "무책임하게 가짜뉴스를 확산시키거나 특정 진영의 정파적 이해만을 대변하는 행태는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이어 이달부터 `가짜뉴스 근절 TF`를 가동,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비롯한 유관 기관과 협조해 가짜뉴스에 대한 철저한 심의와 이행 조치를 마련하고, `원스트라이크아웃제` 도입 방안을 모색 중입니다.

    아울러 내년 예산안에 가짜뉴스에 대한 대응 기반을 마련하고자 팩트체크 사업 신뢰·실효성 제고, 청소년·성인·교사 등 대상별 맞춤형 교육 등에 전년 대비 4억1천700만원을 증액한 총 10억2천700만원을 편성하기도 했습니다.

    방통위는 이번 정책연구 제안요구서에서 연구 목적에 대해 OECD 주요 국가의 온라인상 가짜뉴스 확산 과정과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조사하기 위함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연구 필요성에 대해서는 온라인을 통한 가짜뉴스가 사생활 음해 수준을 넘어 사회 안전을 위협하고 있고, 특히 가짜뉴스는 국경을 넘어 확산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어 국제협력을 통한 공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방통위는 연구 내용으로는 OECD 주요 국가에서의 가짜뉴스 사례, 포털 사이트와 소셜미디어 등 온라인을 통한 가짜뉴스 확산 과정, OECD 주요 국가에서의 가짜뉴스 대응 방안, 국제협력을 통한 공조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방통위는 그러면서 "연구 결과는 국회 입법 지원과 정부 제도·정책 마련 시 정책 연구 결과에 참고하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