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사회
기자이미지 이동경

"'고립·은둔' 택한 청년들, 서울에만 4.5% 약 13만 명"

"'고립·은둔' 택한 청년들, 서울에만 4.5% 약 13만 명"
입력 2023-01-18 13:30 | 수정 2023-01-18 13:30
재생목록
    "'고립·은둔' 택한 청년들, 서울에만 4.5% 약 13만 명"

    채용박람회 구직자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고립이나 은둔 상태의 청년에 대한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청년 100명 가운데 4,5명이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5월에서 12월까지 한 달 사이 직업이나 구직활동이 없는 청년 중에서 정서적·물리적 고립 상태가 6개월 이상 유지되고 있는 경우를 '고립청년', 외출을 거의 하지 않은 지 최소 6개월이 된 경우를 '은둔청년'으로 분류해 조사했습니다.

    만 19살부터 39살까지의 청년이 사는 5,221가구와 청년 5천5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심층 조사를 병행한 결과, 서울 청년 중 고립·은둔 상태인 비율은 4.5%로 추정됐습니다.

    서울시는 이를 서울시 인구에 적용하면 최대 12만 9천 명, 전국 단위로 넓히면 약 61만 명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

    고립·은둔생활을 하게 된 계기로 45.5%가 '실직 또는 취업에 어려움'을 꼽았고, 심리적·정신적 어려움 40.9%, '인간관계를 맺는 것이 어려움'이 40.3%로 뒤를 이었습니다.

    응답자의 64.6%는 성인이 된 이후 원하던 시기에 취업을 못했다고 답했고, 60.7%는 원했던 직장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답해 취업난이 고립이나 은둔을 택한 주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립·은둔 생활 지속 기간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28.1%, '3년 이상, 5년 미만'은 16.7%, '10년 이상'은 11.5%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응답자의 55.7% 고립·은둔 생활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고립·은둔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해본 비율도 43%로 나왔습니다.

    또 고립·은둔청년의 43.2%는 자신의 신체적 건강 상태에 대해 '나쁘다'고 답변했고, 18.5%는 정신건강 관련 약물을 먹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칭 '마음건강 비전센터'를 운영해 고립·은둔 청년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기획해 제공할 계획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