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학자와 작가, 법률가 등 지식인 94명이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금을 일본 피고 기업 대신 한국 재단이 대납하는 방안은 피해자들이 납득하지 못하는 해결책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소설가인 나카자와 게이 호세이대 교수, 야노 히데키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 사무국장, 오카모토 아쓰시 전 월간 '세카이' 편집장은 오늘 도쿄 중의원 제2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이들은 한국 정부의 방안에 대해 "피고 기업이 사죄하지 않고, 한 푼의 배상금도 내지 않는 것은 해결책이라고 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일제강점기에 일본 정부와 기업이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조선인을 데려가 환경이 열악한 탄광과 군수공장 공장 등에서 일하게 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2018년 한국 대법원 판결의 당사자는 어디까지나 일본 기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피고 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과 일본제철을 향해 "글로벌 기업이라면 인권 존중의 관점에서도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피해자의 인권 회복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일본이 1995년 '무라야마 담화'와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등에서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표명했다며 "강제동원 문제도 끝났다고는 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들은 "피해자를 내버려 둔 해결은 오히려 해결을 포기하는 것이며 화근을 남길 뿐"이라며 "일본 정부와 피고 기업은 피해자의 생각을 진지하게 수용해 피해자가 납득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오카모토 전 편집장은 일본 정부와 기업의 사죄를 거듭 촉구하면서 "한 번 사죄한 것으로 문제가 종료됐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