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크라이나 국경 차단하고 시위 벌이는 폴란드 농민들 [자료사진 제공 :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무역 대표부 타라스 카츠카는 폴리티코와 인터뷰에서 제소 배경에 대해 "이 같은 금수 조처가 법적으로 잘못됐음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법적 절차를 시작한 이유를 밝혔습니다.
아울러 "우리가 폴란드로부터 과일과 채소 수입을 금지해야 할 수도 있다"면서 폴란드가 이번 조처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보복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뒤 흑해 봉쇄로 인해 농산물 수출에 차질이 빚어지자 육로와 다뉴브강 수로 등을 통해 인접 유럽 국가로 수출을 늘려왔습니다.
그러나 값싼 우크라이나 농산물이 유입되면서 동유럽에서 농산물 가격이 폭락하는 등 부작용이 빚어졌고,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와 EU 사이 갈등이 고조됐습니다.
EU는 지난 5월 불가리아,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등 5개국에 대해서는 우크라이나산 농산물의 직접 수입을 한시적으로 금지하고 경유만 가능하도록 제한했습니다.
이후 4개월 만인 이달 16일 시장 왜곡 현상이 사라졌다며 우크라이나산 농산물 직접 수입 금지 조처를 해제했으나, 폴란드와 헝가리, 슬로바키아는 자체적으로 금수 조처를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