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문화연예
기자이미지 문다영

일제에 뺏긴 항일 의병의 편지‥100여년만에 고국으로

일제에 뺏긴 항일 의병의 편지‥100여년만에 고국으로
입력 2024-08-14 18:04 | 수정 2024-08-14 18:05
재생목록
    일제에 뺏긴 항일 의병의 편지‥100여년만에 고국으로

    일제 헌병경찰이 덧붙여 쓴 문장 [국가유산청 제공]

    100여 년 전 일본의 침략에 맞서 항일 운동에 나섰던 의병들이 쓴 편지들이 광복절을 앞두고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한말 의병 관련 문서'와 '한일관계사료집- 국제연맹제출 조일관계사료집'을 환수했다고 밝혔습니다.

    한 말 의병 관련 문서에는 1907년 조직된 연합 의병 부대인 13도 창의군에서 활동한 허위(1855∼1908) 등 의병들이 쓴 글과 구한말 대표적인 우국지사인 의병장 최익현(1833∼1907)의 서신 등이 담겨 있습니다.

    문서에는 의병들이 독립운동으로 핍박받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항일의지를 다지며 전술을 고민한 흔적이 담겨있습니다.

    서신들은 총 2개의 두루마리에 나뉘어 제본됐는데, 가로 길이는 각각 406.5㎝, 569.5㎝에 달합니다.

    국가유산청은 두루마리 첫머리에 쓰여있는 글을 토대로 일제 헌병경찰이었던 '개천장치'(芥川長治)가 자료를 모은 뒤, 1939년 8월 지금의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개천장치는 각 두루마리에 '한 말 일본을 배척한 두목의 편지', '한 말 일본을 배척한 폭도 장수의 격문'이라고 제목을 달았습니다.

    또 연해주 일대에서 항일 의병 투쟁을 주도한 의병장 유인석(1842∼1915)의 시문집을 만드는 현장을 급습한 뒤 "다수의 불온 문서를 압수"했다고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국가유산청은 올해 7월 복권기금을 통해 이 유물을 산 뒤 최근 한국으로 들여왔습니다.

    '한일관계사료집'은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제연맹에 우리 민족의 독립을 요구하기 위해 편찬한 역사서로, 임시정부가 편찬한 최초이자 유일한 역사서로 알려져 있습니다.

    총 4권으로 구성돼있는데, 한일 관계사를 중심으로 삼국시대부터 연대별로 일본의 침략성을 실증하고, 식민 탄압의 잔혹성과 3.1운동의 원인 및 전개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지난 5월 미국에 거주하는 한 동포가 기증한 이 자료는 3·1운동 민족대표 중 한 명인 김병조(1877∼1948)의 인장이 찍혀 있어 가치가 큰 것으로 여겨집니다.

    국가유산청은 독립운동에 헌신한 고하(古下) 송진우 선생(1890∼1945)의 부친이자 담양학교 설립자인 송훈(1862∼1926)이 시문을 쓴 현판 '조현묘각운'(鳥峴墓閣韻)도 환수 유산으로 함께 공개했습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나라 밖에 있던 문화유산을 국내로 되찾아온 물리적 회복을 넘어 우리 선조들이 조국을 지켜왔던 정신을 오롯이 회복하는 값진 성과"라고 밝혔습니다.
    일제에 뺏긴 항일 의병의 편지‥100여년만에 고국으로

    '한말 의병 관련 문서' 첨지 및 두루마리 [국가유산청 제공]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