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황에 대출 원리금을 갚지 못하는 회사들이 늘면서 기업대출 부실이 눈에 띄게 커지고 있습니다.
국민·하나·우리은행 등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시중은행 3곳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업대출 중 부실채권(NPL)이 대폭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의 기업대출 중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022년 말 0.26%에서 지난해 말 0.42%로 0.16%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채권을 의미합니다.
하나은행 역시 기업 부문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0.24%에서 0.29%로 올랐습니다.
우리은행의 경우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0.23%로 유지됐습니다.
신한은행은 오는 18일, 농협은행은 29일 차례로 사업보고서를 공시하는데, 기업대출 부실이 점차 확대되는 흐름은 비슷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흐름은 가계대출과 비교해도 두드러집니다.
지난해 말 국민·하나·우리은행의 기업대출은 총 587조 9천772억 원으로, 이 중 고정이하여신이 1조 8천593억 원(0.32%)이었습니다.
가계대출 총액 432조 1천484억 원 가운데 고정이하여신이 7천399억 원(0.17%)으로 집계된 것보다 두 배 가까이 비율이 높았습니다.
전년 대비 부실채권 비율 상승률 역시 기업 부문이 가계 부문보다 컸습니다.
기업대출 건전성 악화는 최근 은행권 기업대출이 가계대출보다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상황이어서 우려를 자아냅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 기업대출은 2022년 말 1천170조 3천억 원에서 지난해 말 1천247조 7천억 원으로 6.6%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이 1천58조 1천억 원에서 1천95조 원으로 3.5% 늘어난 데 비해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5대 은행으로 범위를 좁히면, 지난해 기업대출이 832조 6천억 원에서 888조 2천억 원으로 6.7% 느는 동안 가계대출은 694조 7천억 원에서 694조 4천억 원으로 오히려 소폭 줄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