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역성장 등의 큰 충격을 받으면 자영업·일용직·고령 가구를 중심으로 대출 연체 비중이 약 두 배로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의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말 대비 올해 3분기 말 주택담보대출이 56%에서 61.9%로 늘었고, 고정금리와(45.3%), 분할 상환(39.3%) 방식 대출 비중이 늘었습니다.
또 같은 기간 약정 만기 30년 초과 주택담보대출과(41.0%), 60대 이상 고령층 대출(20.0%) 비중도 커졌으며 하위 20% 저소득자의 담보인정비율(LTV)이 360.3%로 전체 평균(235.1%)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한은은 이같은 가계부채 구조에서 성장률이 1.1%, 실업률이 3%, 주택가격은 1.7% 하락하는 '악화' 시나리오에서는 대출 가구 중 연체 가구의 비중은 2026년을 기준으로 4.1% 뒷걸음질 쳤습니다.
또 성장률이 -0.5%로 역성장을 하고, 실업률이 3.6%로 뛰며 주택가격이 5.4% 하락하는 '심각' 시나리오에서는 대출 가구 중 연체 가구의 비중은 5.1%까지 뛰었습니다.
2023년 연체 가구 비율은 2.5% 수준입니다.
특히 자영업·일용직·고령 가구일수록 연체 비중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특히 저소득층의 부채 의존도가 커지면 소비가 제약될 우려가 있다"며 "고령층 위주로 부채 축소가 지연돼 은퇴 등으로 소득이 감소하면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한은은 연체 가구가 급증해도 은행·비은행 등 금융기관의 자본 비율은 계속 규제 수준을 웃돌아 위험이 전이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