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정치
기자이미지 이동경

"안색 안 좋았는데 꾀병 취급?"‥'훈련병 얼차려 사망' 후폭풍

"안색 안 좋았는데 꾀병 취급?"‥'훈련병 얼차려 사망' 후폭풍
입력 2024-05-27 15:15 | 수정 2024-05-27 15:15
재생목록
    이른바 '군기훈련'을 받던 훈련병이 쓰러져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군인권센터는 "건강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얼차려 부여로 병사가 사망한 사건"이라며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군인권센터는 "제보에 따르면 사건이 발생한 강원도 인제의 한 부대에서 6명의 훈련병이 지난 22일 밤 떠들었단 이유로 이튿날 오후 완전군장을 차고 연병장을 도는 얼차려를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센터 측은 "그런데 당시 같이 얼차려를 받던 훈련병들이, 숨진 훈련병의 안색이 안 좋아 보인다며 집행간부에게 이를 보고했으나 그대로 강행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제보 내용대로라면 집행간부가 훈련병의 이상 상태를 인지하고도 꾀병 취급하고 무시하다 발생한 참사"라고 주장했습니다.

    센터는 "군기훈련의 명령과 집행, 감독이 병영생활 규정에 맞게 이뤄졌는지 엄정히 수사하고, 군기훈련에 앞서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대한 점검이 있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군기훈련'은 군대에서 생활수칙을 위반하는 등 잘못을 저질렀을 경우 흐트러진 군기를 바로잡기 위해 팔굽혀펴기나 쪼그려 뛰기 등 얼차려를 부여하는 걸 의미하는데, 2020년 6월부터 육군 규정에 의거해 '군기훈련'이라는 용어로 쓰여왔습니다.

    지난주 초 신병교육대에서 수류탄 훈련을 받던 훈련병이 숨지는 등 최근 육군 훈련병들의 사망 사고가 잇따른 것에 대해 정치권에서도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21세기 대한민국에서 군대 간 청년들이 어이없는 이유로 죽는 상황을 이해할 수도 납득할 수도 없다"며 "요 며칠 기사를 보며 '어떤 부모가 걱정 없이 자식을 군대 보내고 싶고, 어떤 청년이 흔쾌히 군대에 가고 싶겠나' 생각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조 대표는 "'군대 가야 사람 된다', 불과 20여 년 전까지도 농담 반 진담 반으로 하던 말로, 당시에도 전근대적인 이야기라고 했다"며 "2024년에 '얼차려'란 방식으로 군기를 잡는 것이 합리적이고 시대에 맞을까, 정말 군기를 따지고 '얼차려'야 하는 곳은 어디일까"라고 덧붙였습니다.

    개혁신당 허은아 대표도 "50만 병력에 그 정도 사망사고는 있을 수 있다 식의 인식으로는 사고의 재발을 막을 수 없다"며 "구조적 원인을 파악해서 제거함은 물론, 안이하게 대처한 책임자는 없었는지 책임 은폐 시도는 없었는지 철저히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