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정치
기자이미지 한수연

'얼차려' 받던 훈련병 쓰러지자 중대장 "일어나, 너 때문에‥"

'얼차려' 받던 훈련병 쓰러지자 중대장 "일어나, 너 때문에‥"
입력 2024-06-12 17:02 | 수정 2024-06-12 17:02
재생목록
    지난달 23일 가혹한 군기훈련으로 훈련병이 숨진 사건과 관련해 초기 대처 과정이 미흡했다는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습니다.

    군인권센터는 오늘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숨진 훈련병의 사망진단서 등 의무기록을 공개했습니다.

    강릉아산병원 기록에 기재된 훈련병의 직접 사인은 '패혈성 쇼크'.

    사망진단서에 기재된 직접 사인은 '다발성 장기부전'이며 그 원인은 '열사병'으로 명시됐습니다.

    군인권센터는 사건 당시 훈련병의 맥박과 호흡 등 상태가 급격히 악화됐을 가능성을 언급하며, 부대의 초동 조치에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11일, 숨진 훈련병의 유가족이 훈련병이 쓰러진 직후 옮겨졌던 신병교육대 의무실에서의 조치를 파악하기 위해 의무기록사본 발급을 신청했지만, 아무 기록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겁니다.

    [임태훈/군인권센터 소장]
    "(훈련병이 쓰러진 후) 의무실부터 간 것이 사실이고, (언론 브리핑 내용처럼) 응급의료종합상황센터와 연계해서 환자 상태, 이송 수단 등을 고려하여 긴급 후송한 것도 사실이라면 전산상의 의무 기록이 존재하는 것이 정상이다. 그런데도 기록이 없다는 건 명백히 관련 법령을 위반한 행위다."

    이어 훈련병이 이송된 속초의료원에도 관련 진술이 없었고, 그다음 옮겨진 강릉아산병원 입원기록에는 '부대 진술상 4시 반경부터 야외활동 50분가량 했다고 진술, 완전군장 중이었다고 함'이라고만 적혀있었다고 센터 측은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숨진 훈련병에게 얼차려를 시킨 중대장이 차량 조수석에 앉는 선임탑승자로 병원에 동행한 점 역시 '축소 보고' 의혹의 근거로 제시됐습니다.

    [임태훈/군인권센터 소장]
    "속초의료원 기록상에는 최초 기재 후 사건 전후 상황에 대한 기록이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장 상황을 최초로 전달한 사람은 완전 군장을 메고 연병장을 돌다가 쓰러졌다 정도로만 상황을 축소하여 설명했을 가능성이 있다."

    가혹행위의 가해자가 환자 인솔을 맡을 경우, 사건 발생 전후의 상황을 의료기관에 제대로 전달하지 않거나 축소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입니다.

    군인권센터는 또 훈련병이 쓰러졌을 당시 의무병이 달려와 맥박을 체크했는데, 중대장이 "일어나라, 너 때문에 애들이 못 가고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군인권센터는 훈련병 사망 당시 부대의 초동 대응 상황과, 당시 상황을 신병교육대 군의관, 간부, 의사 등에게 진술한 사람이 중대장이 맞는지, 가혹행위의 사실관계를 진술했는지 등을 명확히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