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사회
기자이미지 박소희

2030 10명 중 7명 "국민연금 못 믿어"

2030 10명 중 7명 "국민연금 못 믿어"
입력 2024-04-14 09:17 | 수정 2024-04-14 09:17
재생목록
    2030 10명 중 7명 "국민연금 못 믿어"
    20, 30세대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은 인구감소 현상과 기금 고갈에 대한 우려 등을 이유로 국민연금을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지난해 7월 20∼30대 1천152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5.6%는 `국민연금제도를 불신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연령대별로 만 20∼24세가 67.8%, 만 25∼29세는 75.8%, 만 30∼34세 77.9%, 만 35∼39세 78.8% 등으로 나이가 올라갈수록 불신감은 높아졌습니다.

    불신감이 가장 높은 집단은 30대 여성이었고, 불신감이 가장 낮은 집단은 20대 여성이었습니다.

    국민연금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큰 부분으로는 89.3%가 `인구감소 현상으로 내가 내야 하는 보험료가 계속 인상될 것 같아서`를 꼽았습니다.

    86.3%는 노후에 받게 될 금액이 너무 적을 것 같다고 했고, 82.6%는 국민연금이 고갈돼 노후에 국민연금을 받지 못할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국민연금 이외에 별도의 노후 소득을 준비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56.8%로 절반이 넘는데, 성별로는 여성이 58.4%로, 남성 55.2%보다 다소 높았습니다.

    노후 소득을 준비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43.0%가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음`을 꼽았고, 이어 `소득이 적어서`, `과도한 주거비 지출', `고용상태가 불안정해서` 등의 순이었습니다.

    국민연금 이외에 노후소득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498명 중 62.7%는 `예금·적금`을 들었고, 이어 `개인연금 가입`, `주식·채권·펀드·가상화폐 투자`, `퇴직연금` 등의 순이었습니다.

    희망하는 최소 월평균 노후 보장 소득은 남성 266만5천원, 여성 241만8천원이었습니다.

    부모 세대보다 더 나은 경제적·사회적 환경에서 살 수 없다고 여긴 비율은 71.7%였는데 이런 부정적인 인식은 여성이 남성보다 강했습니다.

    연구진은 "향후 국민연금 개혁 시 20·30세대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처를 할 경우 논의 과정에서 이들을 포함하고, 공식적인 차원의 충분한 설명과 설득이 수반돼야 한다"며 "동시에 노후 소득 준비에서 불리한 집단의 소득 보장을 위한 연금 개혁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