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사회
기자이미지 곽동건

"제주서 2박‥전기료만 36만 원?" 휴가 장병 하소연에 '발칵'

"제주서 2박‥전기료만 36만 원?" 휴가 장병 하소연에 '발칵'
입력 2024-05-13 14:44 | 수정 2024-05-13 14:44
재생목록
    20대 군인 4명이 휴가를 나와 2박 3일간 머무른 제주도의 한 숙소에서 30만 원대에 달하는 전기료를 내게 됐다는 사연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제주도 2박3일 에어비앤비 숙소 전기료, 이게 맞나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현재 해군 복무 중이라는 작성자는 지난달 22일부터 24일까지 군인 친구들과 함께 모두 4명이 제주도로 2박 3일 여행을 갔다며 숙박 공유 서비스인 '에어비앤비'로 예약한 제주도 애월의 한 숙소에 묵었다고 말했습니다.

    이곳은 숙박비와 별도로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을 따로 납부하는 형식의 숙소였는데, 퇴실 후 2주가 넘게 지난 시점에 집주인으로부터 전기와 가스요금이 정산됐다는 문자를 받았다고 했습니다.

    작성자가 첨부한 문자메시지에는 "후불제 공과금인 가스, 전기 요금이 정산 완료되어 연락드린다"는 내용과 함께 "2박 3일간 가스비 2,707원과 전기요금 36만 6천40원을 합쳐 모두 36만 8천7백47원을 송금 부탁드린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작성자는 "저희가 따로 뭘 꽂아서 전기를 쓰지도 않았고, 당시 비가 와 추워서 에어컨도 켜지 않았다"며 "외출할 때 소등도 확실히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제주도 여행과 에어비앤비를 잘 아시는 분들, 원래 이 가격이 맞는 거냐"며 "저를 포함해 전부 20대 초반의 사회생활도 별로 안 해본 군인들이라 여쭤본다"고 하소연했습니다.

    해당 숙소 측 설명에는 "저희 숙소는 전기, 가스 사용료를 게스트의 사용량에 따라 개별 부과한다"며 "자기 돈을 지불한다는 생각을 가져야 낭비를 막을 수 있다"고 돼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게스트 퇴실 후 계량기를 확인해서 별도청구하는 방법"이라며 "겨울을 제외하면 평균적으로 하루 당 5천 원 정도보다 적게 나온다고 볼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해당 게시물에는 "제주도에는 전기요금을 별도로 내는 주거 문화가 따로 있는 거냐", "2박 전기요금으로 도쿄 왕복 항공권이 나왔다" 같은 비난이 이어졌습니다.

    다만, "요금이 저 정도 나오려면 500kW 이상 전기를 써야 하는데, 정말이면 누전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거나 "3천6백 원인데, 업체 측에서 소수점을 안 찍은 듯하다", "착오가 있는 듯하니 문의해 보면 될 것 같다"는 반응도 있었습니다.

    댓글 반응들을 확인한 작성자는 "군인이라 휴대전화 사용에 한계가 있다"며 "부모님과 함께 연락을 취해 보겠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에펨코리아')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