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한국인 비하 미국 영화 "폴링다운" 파문[안재기]

한국인 비하 미국 영화 \"폴링다운\" 파문[안재기]
입력 1993-02-27 | 수정 1993-02-27
재생목록
    [ 한국인 비하 미국 영화 “폴링다운” 파문 ]

    ● 앵커: 미국 사회 한국인들을 돈만 아는 사람들로 묘사한 영화 폴링다운이 오늘 미국 전역에서 개봉되면서 한국인 교포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영화 시사회를 본 우리 교포들은 소수민족에 대한 폭력을 정당화 시킨 무책임한 영화라면서 분개했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안재기 특파원입니다.

    ● 기자: 이혼 당한 한 실직자가 폭염 속에 LA 프리웨이 교통체증에 견디다 못해서 차를 버리고 파괴와 살상 행각에 나선다는 이 영화는 사회의 모순을 고발한다는 명분을 내건 수준미달의 오락 영화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영화 평론가들의 지적입니다.

    별 볼일 없는 영화 만들기로 이름난 조웰 슈마크 감독은 미 사상 최악의 폭동 현장으로 얼룩진 LA에 사는 한 백인 중산층의 좌절감을 동정적인 시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 디펜스는 공중전화를 걸기 위해서 필요한 동전을 바꾸려고 슈퍼에 들어가는데 한인업주 이 씨는 물건을 사야만 동전을 바꿔 주겠다고 말합니다.

    또 콜라 한 통에 85센트의 비싼 값을 요구하는 이 씨에게 주인공 디펜스가 6.25 한국 전쟁 때 우리가 너희 나라를 얼마나 도와준 지를 아냐며 시비를 거는 스스로 이 씨는 이를 잘못 알아듣고 엉뚱하게 물건 값을 말합니다.

    이처럼 어수룩하고 돈에 인색한 수준으로 묘사된 이 씨에게 관객들은 폭소를 터뜨리는데 끝내 이 씨는 디펜스에게 매까지 맞습니다.

    이 씨는 또 경찰서에서 폭행당한 사실을 하소연하다가 일본계 형사로부터 면박을 당하고 있습니다.

    한편 오늘 개봉에 앞서서 시사회를 통해 미리 감상한 많은 한인들은 이 영화가 한국인 등 특정 인종 그룹에 대한 그릇된 고정관념을 과장 조치했을 뿐만 아니라 소수 민족에 대한 폭력을 정당화 시킨 것이라면서 분개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 영화 제작사인 워너 브러더스 사는 인종 편견을 조장할 의도가 전혀 없었다.

    다만 사회 부패상에 대한 백인 중산층의 항변을 고발하려고 했다면서 변명하고 있습니다.

    LA에서 MBC뉴스 안재기입니다.

    (안재기 특파원)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