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휴대전화 도청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업계 일반적인 의견[박성준]

휴대전화 도청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업계 일반적인 의견[박성준]
입력 2005-08-05 | 수정 2005-08-05
재생목록
    [휴대전화 도청 어떻게 가능한가]

    ● 앵커 : 국정원은 휴대전화와 유선전화간 통화와 달리 휴대전화 사이의 통화를 도청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박성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해외에서 우리돈 3억 3000만원 정도에 판매되는 CDMA 휴대전화 도청기입니다.

    크게 신호를 찾아내는 계측기와 송수신, 증폭기능이 합쳐진 기계입니다.

    도청은 이 기계로, 휴대전화와 기지국 사이의 송수신 디지털 신호를 분석해내는 작업입니다.

    하지만 휴대전화 사용자가 이동하면 기지국이 바뀌고, 송수신디지털코드도 바뀌기 때문에 도청작업은 끊기게 됩니다.

    기지국이 2개 이상 겹치는 지역에서도 양쪽이 번갈아 연결되기 때문에 도청기는 끊겼다, 들렸다를 반복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도청대상자가 집안이나 건물 안 등에서 짧은 거리를 오고갈 경우 하나의 기지국과 연결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도청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이 업계의 일반적인 의견입니다.

    ● 안교승 대표 (한국통신보안주식회사) : 도감청을 하려고 시도를 한다고 하면 특정본에 대한 헥사코드를 장비에 입력하고 이후에 발신 및 착신을 하게 되면 그 신호를 가로채서 들을 수 있는 그런상태입니다.

    ● 기자 : 결국 휴대전화 사용자가 자동차를 타고 빠르게 이동해 도청기의 코드 해독 속도가 따라잡지 못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도청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오늘 국정원뿐만 아니라 정보통신부는 CDMA 휴대전화 도청이 이론상은 가능하지만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애매한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MBC뉴스 박성준입니다.

    (박성준 기자)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