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김경호 기자
내부구조에 깜깜
내부구조에 깜깜
입력
2008-02-11 22:09
|
수정 2008-02-11 22:11
재생목록
● 김성수 앵커 : 겉에다 물만 뿌려서는 애당초 안 될 일이었습니다.
구조도 모르고 설계도면 한장 없이 달려들었다가 참담한 결과를 빚었습니다.
김경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우리 전통 목조 건축물의 아름다운 모습을 전형적으로 보여준 숭례문.
숭례문은 좌우 두 방향에 있는 계단을 통해 누각 1층으로 들어갈 수 있게 돼 있습니다.
1층에서는 다시 안에 있는 계단을 이용해 2층으로 오를 수 있습니다.
현재 불이 시작된 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은 바로 이곳, 누각 2층의 바닥, 또는 2층 천장의 윗부분입니다.
처음에 불은 2층 천장 속, 즉, 기와와 서까래 사이의 공간으로 집중적으로 확산됐습니다.
이 공간에는 '적심'이라고 하는 나무들이 쌓여 있는데, 이 '적심목'에 불이 붙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소방당국은 지붕 아래 적심목에서 계속 연기가 뿜어져 나오자, 바깥에서 이쪽을 향해 엄청난 물을 퍼부었습니다.
문제는 숭례문 기와와 지붕은 본래 물 한 방울 스며들지 않게 돼 있다는 겁니다.
따라서 처음부터 이 기와를 뜯어내고 안으로 물을 뿌려야 했었는데 소방당국은 5시간 동안 그저 기와 위로만 물을 쏟아 부었고, 그 사이 안에 있던 적심목들은 계속 타들어 갔습니다.
● 신응수 대목장 (인간문화재) : "물이 닿을 수가 없었던 거죠. 밑에서 물을 뿌려도 그 속에서 불이 붙어 있기 때문에 지붕에는 개와이기 때문에 물이 내려갈 수가 없고 그래서 불이 그렇게 번진 거예요."
불을 끈다고 서까래 아래에서 위쪽으로 물을 쏘아올린 것도 오히려 불을 더 키웠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부 구조는 그대로 남겨둔 채 바깥에서 위로 물을 쏘아 올리면서 수압으로 인해 공간 안에서는 바람이 일어나, 불이 더 잘 탈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줬다는 겁니다.
● 신동철 (문화재 보수 기능 보유자) : "되레 불나게 해준 거예요. 밑에서 물을 뿌려 주니까 그 수압이 있을 거 아니에요. 바람이 일어나니까 그 안에선 (불에 타기) 더 좋죠."
더구나 관할 소방서에선 애초에 숭례문의 도면조차 확보해 두지 않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결국 '국보 1호'의 구조도 모른 채 무작정 물만 쏟아 붓다가 숭례문을 잃고 말았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MBC 뉴스 김경호입니다.
구조도 모르고 설계도면 한장 없이 달려들었다가 참담한 결과를 빚었습니다.
김경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우리 전통 목조 건축물의 아름다운 모습을 전형적으로 보여준 숭례문.
숭례문은 좌우 두 방향에 있는 계단을 통해 누각 1층으로 들어갈 수 있게 돼 있습니다.
1층에서는 다시 안에 있는 계단을 이용해 2층으로 오를 수 있습니다.
현재 불이 시작된 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은 바로 이곳, 누각 2층의 바닥, 또는 2층 천장의 윗부분입니다.
처음에 불은 2층 천장 속, 즉, 기와와 서까래 사이의 공간으로 집중적으로 확산됐습니다.
이 공간에는 '적심'이라고 하는 나무들이 쌓여 있는데, 이 '적심목'에 불이 붙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소방당국은 지붕 아래 적심목에서 계속 연기가 뿜어져 나오자, 바깥에서 이쪽을 향해 엄청난 물을 퍼부었습니다.
문제는 숭례문 기와와 지붕은 본래 물 한 방울 스며들지 않게 돼 있다는 겁니다.
따라서 처음부터 이 기와를 뜯어내고 안으로 물을 뿌려야 했었는데 소방당국은 5시간 동안 그저 기와 위로만 물을 쏟아 부었고, 그 사이 안에 있던 적심목들은 계속 타들어 갔습니다.
● 신응수 대목장 (인간문화재) : "물이 닿을 수가 없었던 거죠. 밑에서 물을 뿌려도 그 속에서 불이 붙어 있기 때문에 지붕에는 개와이기 때문에 물이 내려갈 수가 없고 그래서 불이 그렇게 번진 거예요."
불을 끈다고 서까래 아래에서 위쪽으로 물을 쏘아올린 것도 오히려 불을 더 키웠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부 구조는 그대로 남겨둔 채 바깥에서 위로 물을 쏘아 올리면서 수압으로 인해 공간 안에서는 바람이 일어나, 불이 더 잘 탈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줬다는 겁니다.
● 신동철 (문화재 보수 기능 보유자) : "되레 불나게 해준 거예요. 밑에서 물을 뿌려 주니까 그 수압이 있을 거 아니에요. 바람이 일어나니까 그 안에선 (불에 타기) 더 좋죠."
더구나 관할 소방서에선 애초에 숭례문의 도면조차 확보해 두지 않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결국 '국보 1호'의 구조도 모른 채 무작정 물만 쏟아 붓다가 숭례문을 잃고 말았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MBC 뉴스 김경호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