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이호찬 기자
'섬 전체가 지하요새' 대만의 금문도를 가다
'섬 전체가 지하요새' 대만의 금문도를 가다
입력
2010-12-05 20:46
|
수정 2010-12-05 21:59
재생목록
◀ANC▶
연평도를 비롯한 서북도서 일부의 요새화가 적극 검토되면서 대만의 금문도란 섬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중국과 수십 년 전쟁을 치르며 섬 전체가 지하 요새로 만들어졌는데요.
그 역사의 현장에 이호찬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VCR▶
대만에서 190킬로미터, 중국 본토에선
불과 1.8킬로미터 떨어진 대만 섬,
금문도.
지리적 중요성 때문에 지난 1949년부터
중국과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1958년엔 무려 47만 발의 포탄이
쏟아졌습니다.
◀SYN▶ 원쓰중(85세)/'금문도 전투' 참전 군인
"사상자가 800명이었다. 금문도의
모든 마을이 공격당했고,
집들이 다 무너졌다."
대만은 이후 본격적으로
지하 요새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금문도 내 한 민간 대피소.
폭 1미터, 높이 2미터 지하 통로가
2킬로미터 넘게 이어져 있습니다.
지금도 긴급 구호 장비와
비상식량 등이 깨끗이 준비돼 있고,
전투 당시 회의 장소와
무기 창고도 보존돼 있습니다.
◀SYN▶ 쉬원카이/대피소 해설원
"갱도들이 도시 곳곳으로
연결돼 있어서 사태가 발생했을 때
시민들이 쉽게 대피할 수 있다."
금문도 내 이런 지하 민간 대피소만
12곳, 길이를 합치면 10킬로미터,
금문도 전체를 거미줄처럼
이어 놨습니다.
집집마다 지하 방공호 설치는
의무였습니다.
◀SYN▶ 쉐수완(79세)/금문도 주민
"첫번째 (폭격) 소리가 들리면
바로 (방공호로) 내려왔다.
두려워서 잠을 못 잤다."
군사 기지도 지하 요새에 설치됐고,
보급선에 대한 폭격을 막기 위해
수로도 만들어졌습니다.
◀SYN▶ 차이위준/구산갱도 해설원
"(군량미를 실은)배를 숨기지 않으면
(중국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적에게 발각될 수 있다.
보급선이 공격당하면 도민 10여만 명이
굶어 죽는다."
이런 요새 공사는 1992년까지
30년 넘게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10년 전 중국 대륙과의
직항로가 열리고
2004년 중국인 관광이 시작되면서
지하 요새는 한해 수십만 명이 찾는
관광 상품이 됐습니다.
◀SYN▶ 쉬지진/금문현정부 과장
"평화란 첨단무기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군사력에서 오는 것도
아니고.. 교류를 통해서 온 것이다."
금문도의 지하 요새들은 이제
역사의 유적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거꾸로
연평도의 요새화를 고민해야 하는
현실이 서글퍼 보입니다.
대만 금문도에서
MBC뉴스 이호찬입니다.
연평도를 비롯한 서북도서 일부의 요새화가 적극 검토되면서 대만의 금문도란 섬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중국과 수십 년 전쟁을 치르며 섬 전체가 지하 요새로 만들어졌는데요.
그 역사의 현장에 이호찬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VCR▶
대만에서 190킬로미터, 중국 본토에선
불과 1.8킬로미터 떨어진 대만 섬,
금문도.
지리적 중요성 때문에 지난 1949년부터
중국과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1958년엔 무려 47만 발의 포탄이
쏟아졌습니다.
◀SYN▶ 원쓰중(85세)/'금문도 전투' 참전 군인
"사상자가 800명이었다. 금문도의
모든 마을이 공격당했고,
집들이 다 무너졌다."
대만은 이후 본격적으로
지하 요새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금문도 내 한 민간 대피소.
폭 1미터, 높이 2미터 지하 통로가
2킬로미터 넘게 이어져 있습니다.
지금도 긴급 구호 장비와
비상식량 등이 깨끗이 준비돼 있고,
전투 당시 회의 장소와
무기 창고도 보존돼 있습니다.
◀SYN▶ 쉬원카이/대피소 해설원
"갱도들이 도시 곳곳으로
연결돼 있어서 사태가 발생했을 때
시민들이 쉽게 대피할 수 있다."
금문도 내 이런 지하 민간 대피소만
12곳, 길이를 합치면 10킬로미터,
금문도 전체를 거미줄처럼
이어 놨습니다.
집집마다 지하 방공호 설치는
의무였습니다.
◀SYN▶ 쉐수완(79세)/금문도 주민
"첫번째 (폭격) 소리가 들리면
바로 (방공호로) 내려왔다.
두려워서 잠을 못 잤다."
군사 기지도 지하 요새에 설치됐고,
보급선에 대한 폭격을 막기 위해
수로도 만들어졌습니다.
◀SYN▶ 차이위준/구산갱도 해설원
"(군량미를 실은)배를 숨기지 않으면
(중국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적에게 발각될 수 있다.
보급선이 공격당하면 도민 10여만 명이
굶어 죽는다."
이런 요새 공사는 1992년까지
30년 넘게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10년 전 중국 대륙과의
직항로가 열리고
2004년 중국인 관광이 시작되면서
지하 요새는 한해 수십만 명이 찾는
관광 상품이 됐습니다.
◀SYN▶ 쉬지진/금문현정부 과장
"평화란 첨단무기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군사력에서 오는 것도
아니고.. 교류를 통해서 온 것이다."
금문도의 지하 요새들은 이제
역사의 유적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거꾸로
연평도의 요새화를 고민해야 하는
현실이 서글퍼 보입니다.
대만 금문도에서
MBC뉴스 이호찬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