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박주린 기자

[뉴스플러스] '처방전無' 몰래 파는 사후피임약…"급한데"

[뉴스플러스] '처방전無' 몰래 파는 사후피임약…"급한데"
입력 2013-11-18 20:57 | 수정 2013-11-19 08:30
재생목록
    ◀ANC▶

    원치 않는 임신을 막기 위해 복용하는 사후 피임약.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암암리에 불법 거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요.

    오늘 뉴스플러스에서는 사후 피임약 불법 거래 실태와 규제 논란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박주린 기자의 보도입니다.

    ◀VCR▶

    서울 한 대학가의 약국.

    사후 피임약을 구한다고 하자 칸막이 뒤에서 조심스럽게 꺼내옵니다.

    ◀SYN▶ 약사
    "원칙은 의사 처방이 있어야 되거든요. 우리가 대신 처방을 끊어줄 테니까...3만원."

    또 다른 약국도 처방전이 필요없기는 마찬가지.

    ◀SYN▶ 약사
    (처방전 없이 주시는 거에요?)
    "어디 가면 그냥 주더라 소리 하지말고...조사 나온 거 아니지?"

    전문의약품인 사후피임약을 처방전 없이 판매하는 건 불법이지만, 이런 식의 거래는 손쉽게 이뤄집니다.

    인터넷을 통해 '무엇이든 구해 준다'는 심부름 업체에선 부르는 게 값입니다.

    ◀SYN▶ 심부름 업체
    "(처방전 없이도) 가능은 해요. 정품으로 갈 거예요. 10만 5천원이예요."

    주문 1시간 만에 약을 들고 나타난 퀵 서비스 기사가 부작용을 설명합니다.

    ◀SYN▶ 퀵 서비스 기사
    (부작용 같은 건 없죠?)
    "그런 얘기는...이게 문제가 없는 약이에요."

    사후 피임약은 고농도의 여성호르몬을 투입해 자궁 내막을 얇게 해서 수정란의 착상을 막는 원리인데, 일반 피임약에 비해 호르몬 수치가 최대 20배 가량 높아, 전문가들은 응급 상황에서만 사용하도록 권장합니다.

    ◀SYN▶ 김연오/산부인과 전문의
    "고용량 호르몬이 들어갈 수 있어서 (부작용으로) 질출혈이라든지 무월경, 생리불순이 올 수 있고, 불임까지도 올 수 있습니다."

    ◀ 박주린 기자 ▶

    처방전 없이 파는 불법 거래도 문제지만, '거부감이 든다' 거나 '처방 기록이 남는다'는 등의 이유로 병원에서 처방전 받기를 꺼리는 여성들이 많다는 현실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사후 피임약 판매를 둘러싼 논란들을 박종욱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VCR▶

    사후 피임약의 효과는 성 관계 후 얼마나 빨리 먹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24시간 안에 먹으면 95%에 달하지만, 48시간 이후에는 절반으로 뚝 떨어집니다.

    이를 근거로 약사들은 처방전 없이 신속하게 구입할 수 있는 약국 판매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미국 등 40여 개국이 약국 판매를 허용했고, 부작용은 약사의 설명으로만으로도 충분히 줄일 수 있다고 말합니다.

    ◀SYN▶ 이모세/대한약사회 보험이사
    "병원을 가는 것 자체가 문화심리적인 제한이 있는 거죠. 굳이 어렵게 할 필요가 없다는.."

    하지만 의사들은 오남용 가능성을 들어 정확한 진단과 처방이 우선이라고 강조합니다.

    사전 피임을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SYN▶ 최안나/대한산부인과학회 위원
    "사전피임율이 이렇게 낮은 나라에서 응급피임약만 쉽게 살 수 있게 해 주면 사후에 간단한 약 하나만 먹으면 된다, 이쪽의 선택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고..."

    의사와 약사가 이처럼 첨예하게 대립하는 배경에는 최근 10년 간 사후 피임약 시장이 3배 이상 커진 것 또한 무시할 수 없다는 분석입니다.

    ◀SYN▶ 정슬아/한국여성민우회 간사
    "당황스러운 거죠. 약국에서 판매하느냐 마느냐를 두고 이야기하기보다는 왜 부작용이나 이런 것들에 대한 통계자료나 이런 것들이 없는지."

    사후 피임약 재분류까지 남은 기간은 2년.

    여성의 건강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있는 만큼, 피임약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공유하고, 피임에 대한 교육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MBC뉴스 박종욱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